8·22 전대 김문수·장동혁 결선行 김 후보 유연한 ‘통합 행보’ 주력 장 후보는 ‘강경 투쟁’ 기조 유지 내일 국회도서관서 당선자 발표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에서 김문수, 장동혁 두 후보가 결선에 진출하면서 사실상 ‘반탄(탄핵 반대)’ 지도부 출범이 확정됐다. 이번 전대에서는 대구·경북(TK) 당원들의 결집력이 판세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며, 남은 결선에서도 TK 핵심 당원들의 표심이 누구에게도 향할지가 최대 관심사다.
김 후보는 본선에서 강성 보수층을 결집하는 데 주력했으나 결선에서는 전략을 유연하게 전환했다. 찬탄 진영이었던 안철수·조경태 후보와의 연쇄 접촉을 통해 친한(친한동훈)계와의 연대에도 나서는 모습이다.
한동훈 전 대표 역시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힘의 최악을 피하게 해달라”며 당원들의 결선 투표 참여를 독려했는데,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김 후보를 우회적으로 지지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후보는 전날 TV 토론에서 한 전 대표와 전한길 씨 중 한 전 대표를 내년 총선에 공천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연대 확장에 힘을 쏟고 있다.
반면 장동혁 후보는 전략 변경 없이 선명성을 강조하고 있다. 찬탄파에 대해 “당의 에너지를 떨어뜨리는 분들과 함께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강경한 보수 노선을 고수하고 있다. '당내 무조건 통합’에 반대하며 윤 전 대통령의 지지층과 당내 강성 당원을 중심으로 세를 넓혀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결선에서 ‘친한계’의 표심이 승패를 좌우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찬탄계가 탈락하면서 중도 보수층의 표심이 한쪽으로 쏠릴 가능성이 커졌고, 이들이 사실상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됐다. 김 후보가 이를 흡수하는 데 성공한다면 여론조사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반대로 투표율이 낮아질 경우 조직력에 기반한 장 후보에게 유리한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TK 지역 당원들의 표심 역시 핵심 변수로 꼽힌다. 국민의힘 전체 당원의 20% 이상인 TK 당원은 높은 투표율과 결집력으로 전당대회 판세를 주도했다. 최고위원과 청년 최고위원 선거에서도 TK 출신 신동욱·김재원 후보, 그리고 대구 북갑이 지역구인 우재준 의원이 당선되면서 이 지역 정치권의 영향력이 재확인됐다.
영천 출신인 김 후보는 TK 표심을 잡기 위해 지역 내 인지도를 바탕으로 ‘통합 행보’에 주력하는 모습이고, 장 후보는 ‘강경 투쟁’ 기조를 유지하며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TK 당원층의 정서에 호소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24~25일 이틀간 책임당원 모바일·ARS 투표 80%,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를 합산해 당 대표를 선출하며, 내일(26일) 국회도서관에서 최종 당선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