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문득 돌이키는 한 가지가 시절 인연이다. 시절 인연은 불교의 업설(業說)과 인과응보설에 따른 것으로, 사물과 관계는 특정한 시공간 환경이 만들어져야 일어남을 뜻한다. 하필 그런 때와 장소에서 그 사람과 만나게 되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한 해답이 시절 인연이다. 정해진 장소와 시기에 누군가와 운명처럼 인연을 맺게 되는 근본 동인이 시절 인연인 셈이다.
시절 인연의 근간으로 작동하는 것이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이라는 업설이다. 전생과 현생에서 내가 지은 업이 선과 악으로 나뉘면서 그것의 결과로 작용하는 것이 인연이다. 우리를 둘러싼 자연적-사회적 환경에 긍정적이고 선한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에게는 좋은 인연이 찾아오고, 그 반대의 경우엔 나쁜 인연과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업설을 달리 말하면, 인과응보설 혹은 인과응보(因果應報)라 할 수 있다. 인과응보는 우리의 행위에 담긴 선과 악이 그 결과를 받게 된다는 얘기다. 따라서 자연물을 포함한 타자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가 언젠가 명백한 결과를 잉태하는 것이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속담이나, 사필귀정(事必歸正)이란 사자성어도 인과응보와 같은 맥락이다.
우리가 맺는 인연의 배후에는 누구도 거역할 수 없는 필연의 불문율(不文律)이 작동한다. 오늘의 행복과 고뇌의 근저에는 그에 합당한 원인이 있다는 것이 불가(佛家)의 해석이다. 나이 들수록 얼굴이 환하고 걸음걸이가 반듯하며 언어에 품격이 넘치는 사람이 있고, 그 반대되는 사람도 적잖다. 그가 지은 현업(現業)이나 지난날의 업장(業障) 때문이다.
루소는 1762년 출간한 ‘에밀’에서 인간이 당면하는 괴로움의 두 가지 근원을 밝힌다. 그 하나는 육체적 고통이고, 그 둘은 양심의 가책이다. 우리에게 닥치는 숱한 질환이 불러오는 육신의 고통과 정신적 통증을 유발하는 후회의 상념이 인간을 촘촘하게 옭아맨다는 얘기다. 톨스토이는 ‘전쟁과 평화’(1869)에서 이것을 질병과 양심의 가책으로 변용하여 표현한다.
우리가 경험하는 육체적 고통의 일차적인 원인 제공자는 우리 자신일 경우가 많다. 우리의 생활 습관이 장시간 축적된 결과가 만성적인 고질병이나 급성질환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수많은 번민과 고뇌의 낮과 밤을 불러오는 양심의 가책도 알게 모르게 우리가 저지르는 파괴적인 악행과 폭언에 근거한다. 모든 것의 원인은 결국 ‘나 자신’이다.
오랜 세월 살아오면서 나 역시 수많은 인간적인 결함과 실수를 저질렀다. 누군가는 나의 폭력적인 언사와 행위로 인해 분명 괴로웠을 것이다. 그때그때 사과하면서 살아왔지만, 성에 차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 까닭에 나는 윤동주 시인처럼 “죽는 날까지 한 점 부끄럼이 없는” 삶을 살지 못한 인간이다. 그것이 오늘날 내가 경험하는 쓰라린 양심의 가책이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도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을 볼 때마다 나는 경이로움으로 전율한다. 정말 대단한 인생 행로를 걸어왔구나, 하는 찬탄의 마음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오늘도 나는 부끄러움과 양심의 가책을 줄이고자 애쓰며 살아가고 있다. 창밖에 매미가 맹렬하게 운다.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