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체류인구 유입 위한 활용 프로그램 다양화·국가유산 마을기업 육성·인공지능 활용한 관리 시스템 개발 등 추진
국가유산청은 21일 지방소멸의 위기 속에서 국가유산 차원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지역 국가유산의 보존·관리 대책을 담은 ‘지방소멸 위기 국가유산 대응전략’을 발표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대응전략을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유산 활용 관광·체험 프로그램과 도시 재생 사업 등으로 생활인구 유입을 늘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상생을 실현하기 위해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방소멸 위기 국가유산 대응전략’은 ‘국가유산으로 살아나는 지역’을 비전으로 3대 추진전략, 7대 핵심과제, 52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3대 추진전략과 주요 내용은 ‘국가유산을 토대로 지역 발전의 새로운 가치 창출’ 전략을 통해 지역 생활인구 유입을 이끌 체류형 콘텐츠를 확산시키고, 무형유산 기반의 지역특산품과 관광·산업 연계모델을 개발·확산시켜 관련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또 ‘지방소멸 시대, 지역과 주민이 함께 지켜가는 국가유산’전략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 국가유산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민관 협력형 ‘국가유산 마을기업’ 모델을 육성하는 한편 국가유산 활용사업을 다양화하고, 균형 있는 지역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국가유산청은 ‘촘촘한 국가유산 보존·관리 체계 구축’ 전략을 통해 국가유산관리 중앙 지휘본부를 구축, 지역 국가유산의 통합 관리를 위한 법적·제도적 체계를 마련하고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보존·관리 체계를 확립해 혁신을 이루기로 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