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도 ‘지역의사’와 ‘공공의대’가 생길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역 거점 공공병원 확충이 병행될 경우, 그동안 공공의료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TK 지역의 의료격차 해소에 큰 전기가 될 전망이다.
1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은경 장관은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지역·필수·공공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충분한 투자와 보상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빠르면 2028학년도부터 의대 입학생 일부를 ‘지역의사 전형’으로 선발해 일정 기간 지역에서 의무 복무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농어촌·도서지역 등 의료인력 부족 지역에 해당 제도가 집중될 예정으로, 경북 북부와 영천, 의성 등 의료공백이 큰 TK 지역이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공의대 신설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김혜진 복지부 기획조정실장은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와 관련해 “지역의사제를 도입하고 공공의료사관학교를 설립해 안정적인 공공의료 인력 양성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공공의료사관학교는 국립중앙의료원 부설 교육기관으로 신설이 추진된다.
이 밖에도 복지부는 △AI 기술을 활용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요양병원 간병비의 단계적 건보 적용 △의료·요양·돌봄 통합서비스 전국 확대 시행 △기초생활보장 강화 △상병수당 확대 등 고령사회 대응 정책을 함께 발표했다.
정 장관은 “국민과 의료계가 공감할 수 있는 국민 중심 의료개혁을 추진해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체계를 만들어나가겠다”며 “국립대병원을 지역 거점 병원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