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강 포항공장(이하 ‘동국제강’)은 변화하는 철강 환경 속에서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소품종 대량생산 제품뿐만 아니라 고객 맞춤형 제품 개발에도 적극적인 행보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D-메가빔’과 ‘그린바’가 대표적이다. 초대형 건축에 적합한 D-메가빔은 최대 3m까지 제작 가능해 설계 자유도와 시공 효율성을 높였고, 비전도·내부식성 소재의 그린바는 철도 궤도나 전기차 인프라 등 차세대 시장에 대응 가능한 강점을 지닌다.
동국제강은 물류 부문에서도 AI 기반 최적화 시스템을 도입했다. 적재 순서와 동선을 효율화해 물류비를 절감하고 출하 속도를 향상했다. AI는 수천 건의 데이터를 학습해 안전과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현장 작업의 정밀성을 높인다.
인력 구조 측면에서는 구조조정 이후 협력업체 인력의 정규직 전환 확대로 고용 안정성을 강화했다. 전 협력업체 인력의 95% 이상을 직접 고용해, 1994년 무파업 선언 이후 지금까지 분규 없는 현장을 유지해왔다.
이 같이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김상재 포항공장장은 지속가능한 산업 전환을 위해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탄소 저감과 에너지 효율 향상 설비 지원은 국산·외산 여부보다 실효성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며, 검증된 고효율 설비 도입을 통해 전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각 기업이 강점을 살릴 수 있도록 정부가 산업 구조조정의 큰 그림을 제시하고, R&D 지원과 제도 개선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상생을 위한 기반 마련은 포항 철강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예고한다. 동국제강은 변화의 흐름 속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미래 경쟁력을 키워가겠다는 방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스틸데일리 김영대 기자 kyd@steelnstee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