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의회 연구회 용역 보고 인구감소로 빈집 장기 방치돼 파생하는 사회 문제 해결 연구 외국인, 귀농인 주거공간 활용
영주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빈집 활용 방안 연구회(이하 연구회)는 지역 내 빈집 활용방안과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섰다.
연구회는 농촌 인구감소 및 고령화, 빈집 장기 방치, 계절 근로자 다수 유입 현상에 따른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빈집을 이용한 농업 노동자 숙소 등 상생 플랫폼 공간 활용 등의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회는 12일 영주시 빈집 활용 방안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빈집 문제 해결과 활용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보고회를 통해 나타난 영주시 빈집 문제점은 농촌지역의 인구 감소와 도시 이주로 빈집 비율의 급격한 증가, 신도시 택지지구 개발로 구도심 빈집 속출 등의 지역내 주택 4.6%가 공실 상태로 나타났다.
빈집 발생에 의한 부정적 사회 현상으로 안전문제 초래, 장기간 방치시 불법폐기물 투기, 화재 위험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됐다.
영주시의 빈집 현황은 2024년 기준 4등급 114호, 철거 또는 이에 준하는 정비가 필요한 3등급 주택 206호, 안전조치 및 정비가 필요한 2등급 주택 425호, 개보수 없이, 개보수 후에 거주 및 활용이 가능한 빈집은 197호 등 총 1107호다.
내국인 농업 노동 기피 현상 심화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고용 비율과 의존도 증가에 따라 근로자의 열악한 임시 거주 시설 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거론되면서 빈집 활용 방안이 제시됐다.
빈집을 통해 계절근로자 및 귀농귀촌인들의 주거환경 개선과 임시 숙소 제공을 넘어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성 보장, 농업 생산성 향상 등의 세부과제도 제안됐다.
연구회 의원들과 용역 수행기관인 글로벌연구교육개발원은 영주시 빈집 현황, 빈집 문제의 원인과 사회적 영향, 국내·외 빈집 활용 우수사례, 빈집을 활용한 주거 및 커뮤니티 공간 조성 방안 등 발표와 협의를 이어갔다.
이번 보고회에는 전규호 대표의원을 비롯해 우충무, 심재연, 손성호, 김주영, 김세연 의원 등 연구단체 소속 의원들과 영주시청 빈집 관련 업무 부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전규호 대표의원은 “빈집은 방치될 경우 안전과 환경 문제는 물론 지역 쇠퇴를 가속하는 원인이 된다”며“이번 연구를 통해 영주시 실정에 맞는 효율적 빈집 활용 모델 제시와 쇠퇴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