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시, 30억 쏟아붓는 세계유산축전 ‘특혜·불통·지역 외면’ 논란 확산

황성호 기자
등록일 2025-08-11 15:14 게재일 2025-08-12 5면
스크랩버튼
세계유산축전, 조례 뒤에 숨은 깜깜이 행정···시민만 봉 되나
지역민 우롱·외지 업체 배 불리기
경주시청 전경./경주시 제공

속보=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주시가 국비 30억 원 규모의 ‘2025 세계유산축전’ 대형 문화사업을 진행하면서 공무원의 ‘깜깜이 행정’이 논란<본지 11일자 6면 보도>이 확산하고 있다.

경주시는 행사 주관을 신라문화유산연구원에 맡겨 문화유산 연구가 본업인 기관에 축제·공연, 프로그램과 심사위원 운영을 담당하도록 하는 등 특혜 의혹으로 얼룩지고 있다.

6개 주요 프로그램 운영 업체 선정은 공개경쟁입찰이 아닌 ‘프로그램 제안서 평가위원회’라는 비공개 심사로 진행됐다.

또 심사위원 구성, 평가 절차, 선정 기준 등은 철저히 가려져 시민의 혈세가 어떻게 쓰이는지 전혀 알 수 없어 공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문화예술계는 “연구기관을 행사 주관사로 내세운 경주시의 결정은 전문성 없는 ‘졸속 행정’이다”고 비판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대부분 사업이 서울·부산·대구 등 외지 업체에 몰리면서 지역 업체는 뒷전으로 밀려나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민 의견 수렴 없이 밀어붙인 이번 사업에 대해 경주시는 “조례에 따른 절차”라는 입장만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들은 “경주시가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허울 좋은 쇼’로 ‘보여주기식 행사’와 ‘특정 기관 밀어주기’에만 골몰하지 말라”면서 “경주시의 무책임한 행정으로 행사의 전문성이 결여되고 이에 따른 시민들의 분노도 생각해야 한다”라고 반발하고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세계유산축전이 외지 업체 밀어주는 행정으로 불신만 키운 전시 행정이 될 수도 있다”면서“이처럼 지역의 이익을 외면한 채 특정 기관에 예산을 몰아주는 행태는 ‘경주시의 지역경제 살리기’의 근간을 뒤흔드는 심각한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황성호 기자 hs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