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사람 허대만 지역주의 타파 정치개혁의 꿈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25-08-10 17:50 게재일 2025-08-11 14면
스크랩버튼
추모문집 ‘공존의 정치 허대만’ 발간
만 26세 전국 최연소 포항시의원으로 정치 입문 후 2022년 타계 때까지
생전 정치인·사업가로의 삶·철학 조명한 다양한 자필·추모 등 묶어 펴내
지역 사회에 깊이 뿌리 내려온 ‘마음이 여린 자의 용기’ 지닌 인물로 평가 
22일 포항시청 대잠홀서 ‘출판기념문화제’ 고인의 ‘상생 실천’ 행적 기려
Second alt text
고(故) 허대만. 2008년 포항남울릉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허대만추모문집발간위원회 제공

“세상은 그를 떠나보냈지만, 그의 이름은 영원히 기억된다. 2022년 세상을 떠난 포항 출신 정치인 허대만. 그는 진영을 넘어 모두에게 ‘좋은 정치인’으로 남았다.” 

고(故) 허대만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위원장의 타계 3주기(8월 22일)를 맞아 그의 삶과 정치 철학을 조명하는 추모문집 ‘공존의 정치 허대만’(도서출판 BMK)이 오는 20일 발간된다. 이번 문집은 지역주의 극복을 위한 그의 헌신과 혁신적 활동을 재조명하며, 유족과 지역사회에 깊은 의미를 전할 예정이다.

허 위원장은 1995년 만 26세의 나이로 전국 최연소 포항시의원에 당선되며 정치에 입문했다. 이후 민주당 소속으로 여러 차례 선거에 도전했으나 지역주의의 벽에 막혀 모두 낙선했다.

하지만 그의 끈질긴 도전과 포항지진 수습 과정에서의 헌신은 지역주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많은 이들은 그를 ‘포항사람 허대만’으로 기억하고 있다.

Second alt text
허대만 타계 3주기 추모문집 ‘공존의 정치 허대만’ 출판 기념 문화제 포스터. /허대만추모문집발간위원회 제공

문집에는 허대만이 생전에 출간한 ‘지역을 바꿔야 나라가 바뀐다(2002)’, ‘영일만의 꿈(2011)’의 일부 내용이 실리며,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두관·안민석 국회의원, 박태식 전 포항시의회 의장 등 다양한 인사들이 추모글을 기고했다.

필진들은 “지금 다시 읽어도 허대만의 안목과 혜안이 느껴진다”며 그의 삶과 정신을 되새겼다.
이번 문집은 2024년 11월부터 준비를 시작해 9개월여간의 작업 끝에 발간된다. 발간위원회는 고인의 친구와 후배들이 주축이 됐으며, 임미애·민병덕 국회의원, 오중기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 위원장, 김태일 전 장안대 총장 등 고인과 깊은 인연을 맺은 각계 인사들도 참여했다.

발간위원회 상임대표를 맡은 임미애 국회의원은 “허대만 위원장이 우리 곁을 떠난 지 벌써 3년이 됐다”며 “지역주의 극복을 위한 ‘허대만법’ 논의는 다소 주춤한 상황이지만, 지방선거부터라도 다시 논의를 이어가려고 노력 중이다. 이 문집 발간이 허대만 정신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발간위원회는 타계 3주기인 오는 22일 오후 7시 포항시청 대잠홀에서 출판기념 문화제를 개최한다. 

1968년 태어난 허대만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고향인 경북 포항으로 돌아와 시민운동과 지방의회에 뛰어들었다. 1995년 만 26세의 나이로 전국 최연소 포항시의원에 당선되며 정치에 입문한 그는 ‘청년이여, 고향으로 돌아가 시장이 되자’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풀뿌리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기초의원 출신 대통령 탄생이야말로 한국 민주주의의 완성”이라는 비전으로 지역주의 타파와 정치 개혁을 꿈꿨다.

Second alt text
 ‘공존의 정치 허대만’  책 표지. /허대만추모문집발간위원회 제공

허대만은 민주당 계열로 출마해 국회의원, 포항시장 등에 7차례 도전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지역주의라는 ‘강고한 벽’ 앞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지만, 그는 ‘총알받이’의 심정으로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 2020년 포항지진 발생 당시 피해 복구와 지원 활동에 헌신하며 지역민의 두터운 신뢰를 얻었으나, 건강 악화로 인해 2022년 8월 24일 5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정치인의 길 외에도 그는 환경 문제 해결에 앞장선 혁신적인 사업가의 길을 걸었다. 2011년 제철소 현장에서 현재 산업계의 탄소 감축 기술과 맥을 같이하는 CO₂ 활용 설비를 개발해 공장을 설립했다. 저서 ‘지역을 바꿔야 나라가 바뀐다’(2002), ‘영일만의 꿈’(2011)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과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동료와 지인들은 그를 ‘마음이 여린 자의 용기’를 지닌 인물로 기억한다. 일상에서 겸손한 이웃으로 살아온 그는 ‘포항사람 허대만’이라는 별칭처럼 지역사회에 깊이 뿌리내렸다. 죽음을 앞둔 순간에도 의연한 모습을 보였다는 일화는 주변 사람들에게 큰 울림을 남겼다. 

Second alt text
2013년 10월  포항남울릉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허대만. /허대만추모문집발간위원회 제공

그의 타계 이후 민주당에서는 지역주의 완화를 위한 ‘허대만법’(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 논의가 본격화됐다. 허대만은 지역주의라는 거대한 장벽 앞에서 정치적 성과를 이루지 못했지만, 공존과 상생의 가치를 실천한 ‘미완의 정치인’으로 기억된다. 현실의 벽에 부딪힐 때마다 ‘서로 한발씩 양보하는 것’을 강조했던 그의 철학은 오늘날 갈등과 대립이 심화된 한국 사회에 경종을 울린다.

“상대가 있기에 내가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서로 한발씩 양보하는 것이 공존의 정치다.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 나는 지고지순이고 상대는 악의 화신인 것처럼 생각해서는 안 된다. 상대도 완전하지 않고 나도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공존의 정치다. 나도 모든 것을 얻을 수 없고 상대도 모든 것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 상대를 빈손으로 만들 수 없고 나 또한 빈손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공존의 정치다.- 허대만, ‘공존의 정치’ 중에서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