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26억 원 확보
전기차 배터리 이력을 여권처럼 관리하는 플랫폼을 블록체인 기술로 구축해 실증하는 사업에 포항시가 참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한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 공모에서 부산시를 주관기관으로 포항시, 부산산학융합원, 한국전기차산업협회가 참여하는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국비 26억 원도 확보했다.
지역의 전기차를 대상으로 배터리 전주기 데이터 이력을 관리하고, 배터리 유통·거래 체계 기반 마련 등 배터린 순환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이 사업의 목적이다. 부산시는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를 갖추고 있고, ‘2050 전지보국(電池報國) 도시 포항’을 목표를 정하고 이차전지(배터리) 투자특별시 조성과 포항형 배터리 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
2027년 2월 유럽연합(EU)이 모든 제품의 생산·유통·사용·폐기 등 생애 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저장·공유하도록 하는 제도인 ‘디지털 제품 여권’(DPP)을 우선 시행하면 국제 통상 규제가 시작되는데, 전기차의 경우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려면 배터리 이력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한 상황에서다. EU는 2027년부터 배터리를 시작으로 섬유, 전자제품, 철강 등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포항시는 이번 사업으로 EU의 DPP 제도에 호환할 수 있는 한국형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전기차 배터리 전주기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포항시는 전기차 동호회 회원 70명과 시민 30명 등 100명의 전기차와 개인택시 전기차를 대상으로 충전·안전·주차, 성능 점검, 전주기(제조·운행·사용후) 이력 관리 등의 실증 서비스를 추진하고, 배터리 정보 자료 관리를 통해 전기차 안전성 강화와 배터리·데이터 기반 연계 산업 활성화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부산시는 관용차를 포함한 전기차 2500대와 배터리 관련 기업을 실증 대상으로 한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