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양식어류 폐사 신고 속속···경북도, 고수온 피해 예방 총력 대응

이창훈 기자
등록일 2025-08-07 16:01 게재일 2025-08-08 3면
스크랩버튼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포항시 육상 강도다리 양식장에서 고수온 대응 장비 작동 현황과 사육 관리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인해 동해안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되자, 양식어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경북도는 지난 1일 시·군 합동대응반을 긴급 편성하고, 해상 예찰과 현장 점검을 강화하는 등 선제적 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했다. 

현재 포항, 울진, 영덕 등 동해안 일부 시·군에서는 양식어류 폐사 등 피해 신고가 접수되고 있으며, 수온 상승에 따른 양식장 환경 변화가 어업인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수온이 28℃를 넘어서면 넙치, 강도다리 등 주요 양식어종의 생존율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긴급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양식어업인을 대상으로 △양식장 관리 요령 준수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신고 △현장대응반과의 협조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당부하고 있으며, 수온 정보와 유의 사항을 문자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매일 약 1500명의 어업인과 관련 공무원에게 전파하고 있다. 또한, 수온 예측 시스템을 활용해 향후 고수온 발생 가능 지역을 사전 경고하고, 대응 장비 가동 여부를 점검하는 등 예방 중심의 대응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5일에는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포항시의 육상 강도다리 양식장을 직접 방문해 고수온 대응 장비 작동 현황과 사육 관리 상황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현장에서 “어업인 피해 최소화를 위해 해양수산부도 비상대책반을 통해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히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피력했다.

최영숙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지난해 역대 최장기간의 고수온으로 약 300만 마리, 31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본 만큼, 올해는 반드시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각오로 철저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도내 양식 어가도 스스로 양식장 관리와 피해 예방에 빈틈없이 준비해 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 7월 초 ‘고수온·적조 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환동해지역본부 주관으로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양경찰서, 수협, 어업인 등 관계기관과 함께 대응 대책 회의를 개최, 고수온 우심해역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과 양식장별 맞춤형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후 실시간 수온 정보 공유와 현장 대응반 운영이 강화됐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