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인해 동해안 해역에 고수온 주의보가 발령되자, 양식어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경북도는 지난 1일 시·군 합동대응반을 긴급 편성하고, 해상 예찰과 현장 점검을 강화하는 등 선제적 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했다.
현재 포항, 울진, 영덕 등 동해안 일부 시·군에서는 양식어류 폐사 등 피해 신고가 접수되고 있으며, 수온 상승에 따른 양식장 환경 변화가 어업인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수온이 28℃를 넘어서면 넙치, 강도다리 등 주요 양식어종의 생존율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긴급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양식어업인을 대상으로 △양식장 관리 요령 준수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신고 △현장대응반과의 협조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당부하고 있으며, 수온 정보와 유의 사항을 문자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매일 약 1500명의 어업인과 관련 공무원에게 전파하고 있다. 또한, 수온 예측 시스템을 활용해 향후 고수온 발생 가능 지역을 사전 경고하고, 대응 장비 가동 여부를 점검하는 등 예방 중심의 대응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5일에는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포항시의 육상 강도다리 양식장을 직접 방문해 고수온 대응 장비 작동 현황과 사육 관리 상황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현장에서 “어업인 피해 최소화를 위해 해양수산부도 비상대책반을 통해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히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피력했다.
최영숙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지난해 역대 최장기간의 고수온으로 약 300만 마리, 31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본 만큼, 올해는 반드시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각오로 철저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도내 양식 어가도 스스로 양식장 관리와 피해 예방에 빈틈없이 준비해 달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 7월 초 ‘고수온·적조 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환동해지역본부 주관으로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양경찰서, 수협, 어업인 등 관계기관과 함께 대응 대책 회의를 개최, 고수온 우심해역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과 양식장별 맞춤형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후 실시간 수온 정보 공유와 현장 대응반 운영이 강화됐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