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산불피해’ 마음의 복구 없인 지역의 진짜 회복도 없다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8-05 15:54 게재일 2025-08-06 2면
스크랩버튼
경북도 초대형 산불 피해 주민 심리지원 총력
지난 3월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정신 건강 회복을 위해 정신건강 전문가가 피해지역 마을회관에서 주민들을 상대로 심리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지난 3월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인해 심리적 충격을 겪고 있는 주민들의 정신 건강 회복을 위한 전방위적인 심리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5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3월 의성에서 시작돼 안동, 청송, 영양, 영덕으로 확산된 이번 산불은 지역사회에 물리적 피해 뿐만 아니라 정신적 트라우마까지 남기며 주민들의 일상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이에 경북도는 전국 정신건강 관련 기관들과 협력해 정신건강 전문인력 약 320명을 현장에 투입해 현재까지 1만5000여 명에게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다.

심리적 충격으로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주민들을 대상으로는 대면과 비대면 방식의 1대1 심층 상담을 오는 12월까지 집중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산불 피해 지역 주민들의 공동체 회복을 위해 7월과 8월에는 농한기를 활용해 마을회관과 학교 등 지역 거점에서 회복 프로그램을 병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건강 상태 평가, 감정 표현 활동, 이완 및 신체활동 등을 통해 주민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공동체 내에서 정서적 지지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주민 이정희씨(64·안동시 길안면)는 “산불이 나고 며칠은 잠도 제대로 못 자고 자꾸 불이 나는 꿈을 꿨다”며 “그런데 전문가들이 찾아와서 이야기를 들어주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줘서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청송군 부남면에 사는 한 주민은 “한 번은 마을회관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에 참여했는데, 다 같이 모여 앉아 이야기하고 웃으면서 몸도 조금씩 움직이다 보니 갑자기 눈물이 날 정도로 위로가 됐다”며 “감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감했다”고 말했다.

현장 대응에 나선 정신건강 인력의 심리적 소진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도 취해졌다. 

영주의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진행된 워크숍에서는 산림치유, 명상, 감정 나누기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간 고강도 활동으로 인해 피로가 누적된 대응 인력의 정신적 회복을 지원했다.

경북도는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이 향후 호우나 폭염 등 추가 재난에 노출될 가능성을 고려해 24시간 운영되는 긴급 심리상담 체계도 가동 중이다. 상담전화(1577-0199)를 통해 언제든 심리적 도움이 필요한 주민들이 전문상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으며, ‘찾아가는 심리지원팀’을 통해 맞춤형 상담도 병행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