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전주기 치의학 연구 생태계 갖춰”

장은희 기자
등록일 2025-07-29 19:55 게재일 2025-07-30 2면
스크랩버튼
대한민국 치의학의 미래,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건립
<3>  대구-충남-부산-광주 경쟁 지역별 유치 전략과 기반은?
Second alt text
경북대치과병원 대구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진료 모습. /경북대치과병원 제공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두고 대구, 충남(천안), 부산, 광주가 치열한 유치 경쟁에 나섰다.

각 지자체는 지역의 치의학 연구 역량과 산업 인프라, 입지 여건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정부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충남
대통령 공약사업 정치적 명분
충청권 바이오·의료의 중심지
부산
디지털 임플란트 산업 본고장
산업 경쟁력·글로벌 전략 병행
광주
AI·치의학 융합 미래기술 도시
국가균형발전 정부 정책 부합

 

글 싣는 순서

1. 국립치의학연구원, 왜 지금 필요한가⋯‘공약’ 아닌 ‘공모’가 답
2. 대구, 인재와 산업이 모인 곳⋯치의학 연구의 실질적 최적지
3. 대구 vs 충남 vs 부산 vs 광주⋯지역별 유치 전략과 기반 비교
4. 연구원이 대구에 오면 바뀌는 것⋯지역을 넘는 국가 파급효과
5. 이원혁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유치위원장 “국립치의학연구원 대구 유치는 국가 경쟁력 높이는 전략적 선택”

 

◇ 대구, 치의학 연구·산업·정책 삼박자 모두 갖춘 곳

대구는 기초부터 임상, 산업화까지 아우르는 전주기 치의학 연구 생태계를 이미 갖추고 있다. 경북대 치과대학, 대구보건대·수성대 치기공과 등 전문 인력 양성기관과 함께 919개 치과 병의원, 379개 치과기공소가 밀집해 있다.

대구는 의료용 핸드피스 생산의 98%를 차지하며, 국내 매출 상위 10대 임플란트 기업 중 25% 이상이 대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메가젠, 덴티스, 스누콘 등 대표 기업이 포진해 있고, 치과의료기기 수출액의 30%를 점유한다. 첨단의료복합단지와 금형, 메카트로닉스, IT 등 연관산업 기반도 풍부해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아우르는 통합적 운영이 가능하다.

대구는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의료도시 부문 7년 연속 수상, 외국인 환자 연 3만 명 유치, 의료관광 클러스터 사업 전국 1위 등 의료산업 도시로서 입지를 굳혔다. 메디엑스포 코리아 개최, 의료연구기반·메디프론티어기업 육성사업 등은 연구원 설립 이후의 시너지 기반이다.

Second alt text
경북대치과병원 대구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진료 모습. /경북대치과병원 제공

◇ 충남(천안), 대통령 공약 이행과 민간 대기업 투자 유치

천안시는 국립치의학연구원이 대통령 공약사업이라는 정치적 명분을 내세우고 있으며, 이미 KTX 천안아산역 인근 R&D 집적지구 내 1만93㎡ 규모의 부지를 확보한 상태다. 총사업비 490억 원이 투입되는 연구원 설립 계획은 지하 1층, 지상 7층 규모로 구체화 돼 있다.

특히 국내 치과용 임플란트 1위 기업 오스템임플란트가 천안테크노파크 일반산업단지에 3742억 원을 들여 생산시설과 R&D센터를 조성하며, 200여 명의 신규 인력을 고용할 계획이다.

단국대 치과대학, 순천향대병원, 충남치과의사회 등과 협력 체계도 마련돼 있으며, 지역 국회의원과의 공동 대응 등 유치 활동을 정례화하고 있다. 수도권과 접근이 용이한 교통 인프라와 함께, 충청권 바이오·의료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 부산, 디지털 임플란트 산업의 본고장과 제도화된 산업 정책

부산은 오스템임플란트, 디오, 코웰메디 등 디지털 임플란트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국내 대표 기업들이 성장한 지역이다. 이들 기업은 3D 영상 기반 디지털치의학 기술을 상용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부산에는 치과병·의원 1353곳, 기공소 485곳이 운영 중이며, 종사자 수는 5188명에 이른다.

부산시는 2017년 전국 최초로 치의학 전담 행정조직을 설치하고, 2018년 조례를 제정했으며, 2019년부터 치의학산업지원위원회를 운영해 정책과 예산을 체계화해 왔다.

디지털 전환 기술 플랫폼 구축, 기공소 스마트화 사업, 신기술 실습 교육, 부산 디지털 치의학 전시회(BDEX) 개최 등 실질적인 산업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 경쟁력과 글로벌 진출 전략이 병행되고 있는 점은 부산만의 뚜렷한 장점이다.

◇ 광주, AI 융합 치의학 생태계와 국가 균형발전 상징성

광주시는 국립 AI 데이터센터가 입주한 첨단3지구 R&D특구 내 1만6500㎡ 부지를 연구원 입지로 제시하며, AI와 치의학의 융합을 통한 미래 기술 선도 도시를 표방하고 있다.

2012년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 필요성을 제기한 지역이라는 정책 선도성을 강조하며, 전남대와 조선대 등 2개 치과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전문 인력 확보를 내세운다. 수도권을 제외하고 치과대학 졸업생 수 1위, 교원 수 2위라는 통계는 연구 인재 확보의 용이성을 뒷받침한다.

치과용소재부품기술지원센터, 생체의료시험연구센터, 치과 의료기기인증평가센터 등 치의학 특화 연구기관이 다수 입지해 있다.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정부 정책 기조에도 부합하는 전략적 선택지로, 실무협의체 구성과 자체 타당성 연구용역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치 명분을 확장하고 있다.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관계자는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의 방향은 단일 지역 중심이 아닌, 전국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중장기 비전 속에서 구상될 필요가 있다”며 “본원 설립 지역을 중심으로 하되, 향후 분원이나 센터 형태로 전국의 치의학 연구·교육·산업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