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엘라는 남아메리카 북단에 위치한 나라다. 국토의 면적은 한반도의 4배가 넘지만 인구는 2800만 정도다. 북쪽으로 대서양과 카리브해를 마주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가이아나, 남쪽으로 브라질, 서쪽으로 콜롬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정식 국가명은 베네스엘라볼리바르공화국.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수도는 카리카스이다.
한때 남미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였던 베네수엘라는 지금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로 전락했다. 석유 매장량 세계 1위, 천혜의 자원을 가진 나라가 어쩌다 쓰레기통을 뒤지는 국민과 천문학적 인플레이션, 대규모 난민을 양산하는 최빈국으로 변했을까. 그 비극은 정치 지도자의 실정과 국민 다수의 잘못된 선택이 맞물린 결과다. 1999년 등장한 차베스는 반미 민족주의를 앞세우며 석유 수익으로 무상 복지와 빈민 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했다. 무료의료, 무료교육, 식량배급으로 서민의 지지를 얻었고, 그 인기에 힘입어 권력을 강화해갔다.
문제는 이 모든 것이 오로지 석유수입에 기대고 있었다는 점이다. 차베스는 경제를 산업 기반이 아닌 석유 판매에만 의존하게 만들었다. 민간기업들을 국유화하며 자율성과 생산성을 무너뜨렸고, 환율을 통제하고 가격을 규제해 시장기능을 마비시켰다. 외환은 고갈되었고, 필수품은 사라졌다. 독립적 언론은 폐쇄되고 비판적 지식인은 탄압당했다. 차베스 사망 후 권력을 이어받은 마두로도 이 위기를 오히려 가속화시켰다. 경제를 전혀 이해하지 못한 그는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해 화폐를 마구 찍어내는 오류를 반복했고, 그 결과 연간 인플레이션이 수십만 퍼센트를 기록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시장에는 생필품이 사라지고, 거리에는 굶주린 사람들이 넘쳐났다.
그 와중에 마두로 정권은 비판을 봉쇄하며 독재화의 길을 걸었다. 선거를 조작하고, 야당이 장악한 국회를 무력화하며 친정부 세력만으로 헌법을 고치는 ‘제헌의회’를 만들었다. 국가 경제는 군부와 권력층의 손아귀에 들어갔고, 부패는 일상화되었다. 이 모든 고통을 견디지 못한 수백만 명의 국민이 국외로 탈출했다. 남미 전역에 흩어진 베네수엘라 난민은 이미 700만 명을 넘었다.
이런 결과를 초래한 원인은 독재자들의 실정만이 아니다. 차베스의 환상에 열광하고, 마두로의 거짓말을 방조했던 국민들의 선택 역시 몰락의 한 원인이었다. 포퓰리즘은 당장의 이익을 약속하며 다가오지만, 그 뒷면에는 국가 시스템의 붕괴와 자유의 상실이 도사리고 있었다. 차베스가 처음 대통령에 당선될 당시, “이제 서민이 나라의 주인이 된다”며 열광하던 군중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민주주의는 제도만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올바른 판단을 내리는 유권자, 눈앞의 이익보다 장기적 비전을 중시하는 국민이 있을 때 비로소 건강하게 작동한다. 무책임한 정치인보다 더 위험한 것은 무분별한 대중이다. 자유와 번영은 공짜가 아니다. 국가의 미래는 지도자의 역량뿐 아니라, 그 지도자를 선택하고 감시하는 국민의 의식 수준에 달려 있다. 팔아먹을 자원조차 없는 한국의 경우, 잘못된 길을 가면 어떻게 되는지는 북한이 잘 보여주고 있다.
/김병래 수필가·시조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