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시, 스마트 양식과 어촌관광으로 지역 수산업 혁신한다.

이석윤 기자
등록일 2025-07-17 11:15 게재일 2025-07-18 7면
스크랩버튼
이강덕 시장, 구룡포 해상낚시터·장기 연어양식 클러스터 현장 점검
“지속가능한 어촌경제 모델 정착” 강조
Second alt text
이강덕 포항시장이 지난 16일 양준혁 씨의 안내로 동끝 해상 낚시터를 둘러보고 있다. /포항시 제공

포항시가 전통 수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어촌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수산업 생태계 혁신에 나서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난 16일 구룡포와 장기 지역의 주요 수산 현안 사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과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이강덕 시장이 첫 번째로 찾은 곳은 구룡포읍 병포리·석병리에 조성된 해상 낚시터 테마파크였다. 노후 축제식 양식장을 복합형 관광시설로 재탄생시킨 이 사업에 대해 이 시장은 “어촌 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체류형 관광사업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단기적 성과에 머물지 않고 지속가능한 어촌경제 모델로 정착될 수 있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관계자들에게 당부했다. 또 “해양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어촌에 체류형 관광객을 유치하는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Second alt text
<사진 있음> 사진. 이강덕 포항시장이 지난 16일 해원 해상 낚시터를 둘러보고 있다. /포항시 제공

구룡포 해상 낚시터 테마파크는 2022년부터 올해까지 총 21억 6천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조성됐다. 사업비 구성은 도비 2억 8천만 원, 시비 6억 6천만 원, 자부담 12억 2천만 원이다. 이 시설에서는 낚시 체험, 회 손질 서비스, 특산물 요리 체험 등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으며, 각종 편의시설도 완비됐다.

이후 장기면 일원에서 추진 중인 연어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 현장으로 이동해 공정 진행 상황을 살폈다. 이 자리에는 한희승 ㈜미래아쿠아팜 회장도 동행해 사업 전반의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계획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시장은 민관 협력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긴밀한 공조를 강조했다. 2021년 해양수산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이 사업은 장기면 일원에 총 22만 4140㎡ 규모로 조성되고 있다.

Second alt text
이강덕 포항시장이 지난 16일 연어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포항시 제공

사업 부지는 테스트베드 부지 2만 8570㎡와 상업 양식장 배후 부지 19만 5570㎡로 구성된다. 지난해 10월 착공한 테스트베드는 현재 공정률 50% 수준으로, 지반공사와 해수 취·인입관 시설 공사가 완료된 상태다.

오는 11월까지 수조 설치를 위한 건축·토목 작업을 마무리하고 부대공사를 거쳐 올해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시설에서는 연간 1000톤 규모의 대서양 연어가 4차 산업 기반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생산·출하될 예정이다.

특히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질병 예측 시스템과 생육 관리 등 스마트 양식 기술이 적용된다. 시는 스마트양식 시설을 중심으로 가공, 기자재, 연구개발 기능까지 연계한 복합형 클러스터인 연어양식 특화단지도 조성할 계획이다.

Second alt text
이강덕 포항시장이 지난 16일 연어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현장에서 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누고 있다. /포항시 제공

이강덕 시장은 “스마트 양식은 수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핵심기술”이라며 “포항 연어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를 지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우고, 세계적인 스마트 양식 허브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항시는 해양관광 활성화와 스마트 수산업 육성을 양축으로 삼아, 지속가능한 수산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계속 추진할 방침이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

포항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