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립산림과학원, 영남권 산불피해 복구에 ‘송이 감염묘 기술’ 도입

이석윤 기자
등록일 2025-07-17 15:40 게재일 2025-07-18 2면
스크랩버튼
3~5년생 어린 소나무 묘목의 뿌리에 송이균을 직접 접종하는 방식
강원도 고성과 홍천 지역 시험림에서 장기간 실증 연구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 과학적으로 입증받아
Second alt text
산불피해지(고성)에서 발생한 송이버섯 /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하 산림과학원)은 지난 3월 대형 산불로 황폐화된 영남 지역 산림 복구를 위해 ‘송이 감염묘를 이용한 인공 재배 기술 적용’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은 3~5년생 어린 소나무 묘목의 뿌리에 송이균을 직접 접종하는 방식이다. 산림과학원은 강원도 고성과 홍천 지역 시험림에서 장기간 실증 연구를 통해 이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받았다.

고성 시험림은 1996년 산불 피해를 입은 지역에 조성된 소나무림으로 2007년 송이 감염묘 27본을 이식한 결과 16년 만인 2023년 처음으로 송이 5개체가 발생했다. 이어 2024년에는 1개체가 추가로 확인되며 기술의 지속 가능성을 보여줬다.

1995년 조성된 홍천 시험림에서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총 192본의 감염묘를 단계적으로 이식했다. 그 결과 2010년 첫 송이가 발생한 이후 2017년부터는 8년 연속 송이가 발생하는 안정적인 생산 패턴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총 70개체의 송이가 확인돼 기술의 실용성을 입증했다.

산림과학원은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영남권 산림에 송이산 복원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 임업인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박응준 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장은 “장기간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송이 감염묘에서 실제 송이 발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며 “이번 기술이 산촌 주민의 소득 보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