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책학회 특별세미나 성황 청년 유입·고령친화 정책 병행 새로운 정주 공간 공급 필요 등 ‘지속 가능 미래’ 5대 전략 제시
‘노동 고령화, 통상 리스크, 신흥 철강생산국의 저가공세, 탄소 국경조정세’
한국정책학회가 16일 포스코 국제관에서 마련한 특별기획 세미나에서 ‘포항의 신성장 전략’을 발표한 이종섭 서울대 교수는 포항의 현주소를 이렇게 분석했다.
그는 포항의 미래 전략도 함께 제시했다.
이 교수는 의료바이오 메가 클러스터 구축, 스마트 제조 및 피지컬 AI(인공지능) 전환, 수출 다변화와 고부가소재 전환, 관광 및 마이스(MICE) 산업 고도화, 인재 및 정주 생태계 혁신이라는 5대 전략 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머무를 이유가 분명한 도시를 완성해야 포항이 동해안권을 넘어 대한민국 산업전환의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경국현 성균관대 교수는 포항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한 상징적 계획도시이자 포항 남구의 핵심 생활권이자 전략적 입지를 지닌 ‘지곡지구’ 개발을 포항 미래 전략의 출발점으로 제안했다.
‘포항의 어제와 오늘 : 성찰과 전망’을 주제 발표한 박형준 성균관대 교수와 이성윤 서울여대 교수는 청년 인구의 지속적 유출과 고령 인구 비중 확대 상황에서 청년 유입과 고령 친화 정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균형, 회복탄력성, 지속 가능성 등 3가지 키워드를 이야기 한 두 교수는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재정 자율성 확보, 데이터 기반 행정과 시민 참여 확대가 향후 도시 정책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에이터 타운 : 제4의 창조도시’를 주제로 지역 발전 모델을 제시한 모종린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살기 좋은 도시, 기업활동 하기 좋은 도시, 장사하기 좋은 도시라는 3가지 모델이 있으며, 도시 다양화를 위해 공동체, 공유, 자연, 창의성의 가치를 담은 새로운 정주 공간 공급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이어 “건강한 상권 생태계는 단기적인 임대료나 유행보다 다양한 업종과 규모가 공존할 수 있는 도시구조에서 비롯된다”면서 “도시 다양성의 원칙이 충족돼야 지속 가능한 상권이 형성된다”라고 덧붙였다.
박형준 한국정책학회장은 “지역소멸, 수도권 집중, 도시 간 불균형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인구 감소와 산업 위축, 삶의 질 격차는 지방을 넘어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과제가 됐다”라면서 “지역의 자생적 역량을 높이면서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을 모색하는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