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폭염으로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경북도내 가축 및 과수농가에도 폭염 피해가 덮치면서 비상이 걸렸다.
8일 경북 안동 길안면의 낮 기온이 39도로 올들어 최고 기록을 세운 가운데 9일에도 대구경북 전역에 걸쳐 폭염특보가 내려졌다. 기상청은 당분간 낮 최고기온은 33~35도 이상 되고, 열대야까지 겹치는 날이 많다고 예보했다. 포항과 대구에선 밤 기온이 25도 이상 유지되는 열대야가 9일째 이어졌고, 온열질환자도 예년보다 빨리 발생하고 그 숫자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폭염이 길어지면서 경북도내 가축농가와 과수농가의 피해도 우려된다. 예년의 경우를 살펴보면 폭염에 의한 가축이나 과수 피해 정도가 상당했다. 피해 금액도 크지만 경우에 따라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폭염 피해는 폭염에 대비한 사전 대응 정도에 따라 얼마든지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지금부터 준비가 중요하다.
전국적으로 2주 이상 이른 폭염이 찾아오면서 돼지 1만여 두와 가금류 12만여 마리가 벌써 폐사한 것으로 알려져 관련 농가가 비상이다. 경북은 가축이나 과수 면적이 넓어 해마다 폭염에 의한 피해가 적지 않은 곳이다. 발빠른 대응으로 피해를 줄여야 한다.
경북농업기술원은 예년보다 빨리 폭염이 찾아옴에 따라 폭염대응현장지원단을 가동했다. 지원단은 농업인 온열질환자, 농작물, 가축 등의 피해 예방을 위해 폭염 피해가 예상되는 과수농가, 밭작물 농가, 축사 등의 영농현장을 돌며 폭염대응 관리요령을 안내하고 있다.
기술원은 과수작물은 배수로 정비와 관수량 조절을 통해 토양의 수분이 적절히 유지되게 하고, 강한 햇빛으로 인한 일소현상 방지를 위해 가지 재배치 등의 요령을 당부하고 있다. 또 가금류 사육농가에 대해서는 사육밀도 조절, 시원한 음용수 제공, 축사 환기 등의 폭염 대응 지침을 전달하고 있다.
관련 농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문기관의 지도와 지침에 맞게 영농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올 여름은 역대급 폭염이 오랫동안 이어질 것이 예상돼 당국과 농가의 비상한 각오와 준비가 있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