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중증 환자 전담구급차 운용 시범사업’ 공모 선정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5-06 15:50 게재일 2025-05-07 2면
스크랩버튼
2027년까지 50억 원 투입해 중증 환자 이송 체계를 구축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중증 환자 병원 간 이송체계 구축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돼 경북도에 배치된 중증 환자 전담구급차(사진 왼쪽)/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중증 환자 병원 간 이송체계 구축 시범사업’ 전국 공모에 선정돼 경기도에 이어 전국 2번째로 중증 환자 전담구급차를 도입·운용한다.

6일 경북도에 따르면 ‘중증 환자 전담구급차’는 중증 응급환자의 최종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의 안전한 이송을 지원해 도민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3년간 50억 원을 투입해 중증 환자 이송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중증 환자 전담구급차는 기존 구급차의 1.5배 크기로 자동흉부압박기, 체외막산소공급장치(ECMO) 등 전문 의료장비를 탑재하고, 이송 중 의료 처치를 위해 3명(응급의학과 전문의 1, 간호사 또는 응급구조사 2)이 탑승한다. 24시간 근무를 위해 총 5개 조 19명(의사 5, 간호사 10, 운전기사 4)의 인력으로 운영한다.

배치 의료기관은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이다. 이 병원은 385병상의 종합병원으로 전문의 79명 등 920여 명의 의료인력이 종사하고 있다. 대구·경북 최초 장애친화 산부인과 개소, 경북 유일 신생아 집중 지속치료센터 및 서북부 유일 권역응급의료센터 운영 등 지역 내 필수의료를 지속 강화하고 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12명 등 중증 응급환자를 위한 치료 여건도 갖추고 있다.

지역적으로도 구미는 인구수가 가장 많은 중진료권이기도 하며, 경북, 중부내륙, 중앙, 상주영천 고속도로 및 국도가 인접해 있는 지역으로 중증 환자 이송을 위한 타지역 접근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경북도는 전담 구급차 제작 기간 소요에 따라 10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이 되면 병원 간 중증 환자 이송 뿐만 아니라 △중증 환자 전문이송 인적자원 확보 △경주에서 열리는 APEC 2025 KOREA 정상회의 시 중증응급환자 이송 지원 △닥터헬기(안동병원 배치)와 연계한 중증 환자의 지상형 이송 체계 모델 구축 등의 역할을 한다. 또 △울릉군 중증 응급환자의 헬기, 해경함정 통한 후송 후 육지 내 이송 지원 △대구의 상급종합병원들과의 중증 응급환자 대응 협력 등 중증 응급환자 대응체계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정근 복지건강국장은 “중증 환자 전담구급차 도입은 골든타임을 확보해 도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응급의료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도내 의료 기반 분포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