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위험천만 도시형 산불, 다각적 대응력 갖춰야

우정구 기자
등록일 2025-04-29 18:54 게재일 2025-04-30 19면
스크랩버튼

28일 오후 2시 1분께 대구시 북구 노곡동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나들목 인근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도시지역과 인접한 곳에 발생한 산불이란 점에서 일반적인 산불과는 양상이 다르다.

 

산림과학원은 함지산 산불을 35년만에 발생한 도시형 산불이라고 했다. 도시형 산불이란 불길이 도시민이 사는 아파트 단지 등으로 옮겨 붙을 수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를 경우 인적 물적 피해가 상상 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또 불길이 도심으로 옮겨질 경우 소방당국의 대응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 함지산 산불은 구암동, 서변동 등으로 번져가면서 수천 가구의 아파트단지와 공공시설물들을 위협했다. 

 

다행히 불길이 잡혀 더 큰 피해는 없었지만 아찔한 순간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5000여 명이 긴급 대피하고 인근 학교들이 휴교했다. 산불이 꺼질 때까지 밤잠을 설치며 노심초사했던 주민들이 많았지만 그나마 다행이다.

 

2013년 3월 포항시 용흥동. 우현동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은 도시형 산불의 대표적 사례다. 도시가 확장되고 야산 주변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산불 발생의 무방비 상태에 빠지게 된 경우다. 산에서 일어난 불길이 아파트 꼭대기 가정집으로 옮겨 붙고, 20여 명의 인명 피해도 냈다.

 

도시형 산불은 도시가 확장되면서 전국적으로 위험성이 내포된 지역이 많아졌다고 보아야 한다.

 

도시형 산불의 또 다른 특징은 대기오염이다. 주택이나 각종 시설물이 불타면서 발생하는 중금속과 유기화합물 등이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함지산에서 시작한 산불은 다행히 주택 등의 피해가 없었으나 곳곳에서 매케한 냄새를 맡을 수 있었다는 것은 대기오염의 위험성을 증명한다. 도심 주변 산의 수종을 활엽수 등으로 바꾸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올들어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에 이어 함지산 산불 등 대형 산불이 잇따르고 있다. 산불에 대한 주민들의 경각심 고취가 매우 중요하다. 동시에 당국의 재난 대응력도 고도화돼야 다양한 재난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