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오늘 ‘2차 컷오프’ 김 “트럼프 관세 압박 대응 강조” 홍 “상속세 폐지·최저임금 차등” 안 “충청권 발전 위한 행정 통합” 한 “개헌 추진 3년 대통령직 약속”
결선행 티켓을 놓고 막판 표심잡기에 나선 김문수·안철수·한동훈·홍준표 후보. /연합뉴스
국민의힘 2차 경선 투표가 마무리되는 28일 후보들이 결선행 티켓을 놓고 막판 표심 잡기 경쟁에 나섰다.
탄핵 반대 진영 김문수·홍준표 후보는 정책 발표로 경쟁력 강화에 나섰고, 탄핵 찬성 진영인 한동훈·안철수 후보는 충청을 찾아 중도층 민심 공략에 집중했다.
김문수 후보는 이날 여의도 대하빌딩 캠프에서 ‘수출 5대 강국 도약’ 공약을 발표하면서 “당선 즉시 한미정상회담을 제안해 트럼프 관세 압박에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를 위해 “대통령 직속 민관 원팀 기구를 가동하겠다. 이를 통해 관세 문제와 조선, 액화천연가스(LNG), 방산, 반도체, 원전을 아우르는 포괄적 투자협정 패키지 협상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하면서, 글로벌 공급망·관세·환율 불안선제 대응, 중소·중견·스타트업 수출 지원 확대, 청년 수출 전문인력 양성, 디지털·서비스 무역 강국 도약 등의 공약도 함께 발표했다. 그는 “대통령이 수출을 챙겨야 할 때”라며 “직접 세계시장을 누비는 경제 대통령, 수출 대통령, 과학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홍준표 후보는 이날 중소기업 표심 공략에 나섰다. 홍 후보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를 방문해 간담회를 열고 중소기업·소상공인 대표들과 만나 관련 정책들을 발표했다. 그는 “상속세가 너무 많으니 기업을 팔아 버리고 부동산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며 “(상속세를 폐지하지 않으면) 중소기업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대기업 상속세에 대해서도 “삼성 이재용 회장도 아직 상속세 못 냈을 것”이라며 “대기업의 상속세도 완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최저임금의 차등 적용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주 52시간 근로제를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고용 유연성을 높이겠다. 해고의 유연성이 전제되면 정규직 비정규직 차등을 둘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후보는 이날 대전·충청 일대에서 민심을 청취하고 지역 발전을 위한 공약을 내놨다. 그는 청주 한 카페에서 충북대 탄핵 반대 학생 대표단과 간담회를 갖고 기자들과 만나 “(충청권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행정 통합"이라며 "충청권 인구 500만 명 이상이면 자체적으로 물건을 생산하고 경제 활성화를 할 수 있다”고 피력했다. 안 후보는 “물류와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로와 철도를 제대로 건설해야 한다”며 “국가가 독점하는 법률적 권한과 재정적 권한도 개헌으로 지방정부에 이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개헌을 통해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만들어야 한다. KTX 정차(세종역 신설)는 너무나 당연하다”고 말다.
이날 한동훈 후보도 청주를 방문해 시장상인, 시민들과 만나 지지를 호소했고 상인연합회 관계자와 간담회도 진행했다. 이후 충남 아산 현충사에서 순국선열 참배 후 국방정책을 내놨다. 한 후보는 “국회의사당을 세종으로 완전하게 이전하겠다고 공약한 것이 바로 저”라며 “분소가 아니라 국회 전체가 이전하는 것이 지역 균형 발전과 나라 발전에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행정수도 이전 문제는 개헌의 문제다. 제가 대통령이 되면 개헌을 추진하고 성공하겠다는 가장 큰 의지를 가진 후보라고 생각한다”며 “저는 그것을 추진하기 위해 (대통령직을) 3년만 하고 내려오겠다고 약속했고, 앞으로 50년, 100년 동안 쓸 헌법을 제대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