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6월 3일 조기대선을 앞두고 78조 원 규모 20개 핵심사업을 대선공약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대구 미래를 위한 개혁과제들은 정부 계획단계나 법률적으로 다 반영돼 궤도에 올랐다‘며 ”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시정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개혁과제들이 대선공약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작년 12월부터 준비해 온 78조규모 20개 과제가 공약에 반영되도록 시정역량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선은 선거 기간이 짧아 지역의 현안보다 정쟁과 포퓰리즘 공약이 난무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따라서 지역의 공약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지역현안을 대선후보 공약에 반영시키는 것이 현재로선 가장 이상적 방법이다.
대구시는 수도권 양극화 극복과 지역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TK 신공항사업을 1호 공약으로 내세울 계획이다. 신공항 사업은 정부부처 협의를 거쳐 상당부분 진척이 되고 있으나 공공개발에 따른 재원 문제가 난관에 봉착해 있다. 대구시는 대선공약을 통한 2차 특별법 제정이 난관 극복의 해법으로 보고 다각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그밖에도 대구취수원 안동 이전이나 군부대 이전, 달빛철도 조기 착공, 대구경북 행정통합 등 대구시의 주요 핵심 대형사업들은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래야만 사업의 연속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의 현안사업들은 대체로 수십조원에 이르는 메가 프로젝트가 주류다. 이미 진행 중이기는 하나 마무리까지는 정부의 지원이 아직은 절대적이다. 적극 지원했던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고 시장까지 공석인 상태라 지금은 권한대행 체제가 막중한 임무를 떠안고 있는 셈이다.
대구시는 15일 김 권한대행 주재로 21대 대선 지역공약 보고회를 가지고 충분한 토의를 거쳐 25일 이전 공약을 발표하겠다고 한다. 여야 대선후보 진영을 설득하고 정치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비상전략이 필요하다. 지금은 대구현안을 대선후보 공약화로 하는 것이 최대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