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6월 3일로 잠정 확정<br/>중도층 외연 확장 힘쏟는 국힘<br/>윤 전 대통령 행보에 예의주시<br/>개헌으로 ‘反李 전선’ 형성 노려
정부가 조기 대선 일자를 6월 3일로 잠정 확정하면서 대선 결과를 좌우할 변수에 관심이 쏠린다. 정치권에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사저 정치’여부와 ‘반이재명 정서’를 대선 판세의 최대 변수로 꼽고 있다.
국민의힘이 최근 촉각을 곤두세우는 부분은 윤 전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어떤 행보를 보이느냐다. 윤 전 대통령이 지지층을 향해 메시지를 내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탄핵정국 당시처럼 보수진영이 사분오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미래 의제와 관련한 정책 논쟁은 실종되고, 탄핵 책임론만 부각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로인해 국민의힘이 대선 국면에서 윤 전 대통령과 선을 긋지 못할 경우, 중도층 외연확장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TK정치권의 한 원로는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끊지 못하는 이상 국민의힘은 중수청(중도층·수도권·청년층) 확장이 어려울 것”이라면서 “윤 전 대통령 사저정치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포함해 야권 주자들에게 오히려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원로정치인은 “이런 흐름이 이어진다면 정권 교체 가능성이 커졌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현재로선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이재명 대세론’이 힘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긴 하지만, 대세론이 사그라들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게 나온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탄핵 결정으로 이 대표의 대세론이 강해질 수는 있을 것”이라면서도 “개헌의제를 두고 여러 정치세력이 힘을 모아 ‘반(反) 이재명’ 전선을 형성한다면 이재명 대세론을 흔들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 상당수 여야 대선 후보들은 개헌 필요성에 동의하며 각자의 개헌안을 활발하게 제시하고 있다. 국가원로집단과 정치권에서도 개헌을 고리로 이 대표를 압박하고 있어 상황이 어떻게 급변할지 예측할 수 없다.
반면 이 대표는 개헌의 필요성에는 수긍한다면서도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 “민주주의의 파괴를 막는 것이 훨씬 더 긴급하고 중요하다”며 사실상 개헌추진을 거부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사저 정치’와 ‘반이재명 정서’ 외에도 남은 대선 기간 여러가지 돌발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을 비롯한 보수진영 후보 단일화와 이재명 사법리스크 등이 대표적이다.
TK지역 정가에서는 “지금은 윤석열 심판 프레임이 먹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유권자들이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들은 지금 윤 전 대통령이 탄핵된 것만으로도 정권 교체가 거의 됐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야권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정권 교체만 내세울 경우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