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비명계 등 수용 촉구<br/>민주 “野 지분 다툼”난색 표할 듯
조기 대선 막이 오르면서 야권 단일화가 이뤄질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비명계와 조국혁신당 등은 이재명 대세론을 흔들기 위해 야권 통합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을 제안했다. 이에 앞서 조국혁신당은 지난달 4일 통합 경선을 제안했으나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 취소로 관련 논의가 중단됐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상 오픈프라이머리 논의에 불을 붙인 만큼 통합 경선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6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압도적 정권 교체를 위한 야권 통합 오픈프라이머리를 다시 제안한다”며 “민주당은 대선 후보를 민주당만의 담장 안에 가두지 말라”고 말했다.
민주당 비명계도 즉각 화답하며 이재명 대표의 수용을 촉구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당 울타리를 넘어 범야권 세력이 크고 튼튼하게 하나 되는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며 “혁신당이 제안한 완전국민경선이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비명계 모임인 ‘희망과 대안’ 포럼 간사 양기대 전 의원도 “형식적 경선이 아닌 통합의 축제로서 완전 국민 경선을 실시해야 한다”고 힘을 보탰다. 경선 도전 가능성이 있는 김부겸 전 총리,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 비명계 인사들은 이 대표 독주체제를 흔들어보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를 포함한 민주당 지도부가 통합 경선을 수용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통합 경선이 자칫 대선 이후를 염두에 둔 야권 ‘지분 다툼’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 김윤덕 사무총장은 사견을 전제로 “조국혁신당이 주장하는 오픈프라이머리는 당을 구분하지 않고 대권에 출마할 수 있는 모든 후보가 함께 경선을 치르는 방식”이라며 “개인적으로는 그런 방법보다 일단 각 당에서 대선 후보를 정한 후 야권 단일화를 통해 정권 교체를 실현하는 과정으로 가는 게 훨씬 더 바람직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