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예뻐서 데려온 애가 남천이었어요. 어디서나 잘 자란다고 하고. 한동네 살다가 이사간 금천이라는 애도 생각나고. 그래서 잘 키워보고 싶었죠. 생각날 때마다 창문 열어 주면서 물 주면서
그랬는데 시들해요.
일조량이 부족했을까요. 금천이가 중학생이 되어 놀러왔을 때 엄마 뒤로 숨던 일이 생각납니다. 동네에 그애가 있다 생각하면 신나면서도 그랬어요. 그런 날들은 어떻게 지나가는지도 모르게 지나가고
물건을 돌려주러 가는 길에
그애가 자란다면 딱 이렇겠구나 싶게 엄청 크고 무성한 남천을 봤어요. 이 집에서는 밖에 내놓고 기르는 모양이더라고요. 남천을 잘 키우면 이렇게 되는구나. 정신이 번쩍 드는 겁니다.
키우던 애가 커서
키우는 마음이 뭔지 아는 순간이 온다는 사실을 왜 자꾸 잊을까요. 얼른 가서 남천을 봐야겠어요.
-임승유,‘중요한 역할’전문 (‘생명력 전개’, 문학동네)
흔하디 흔한 남천(havenly bamboo)이라는 식물이 있다. 영하 17도의 추위를 견디며 꽃과 열매, 잎이 모두 사계절을 살아낸다. 점입가경, 전화위복 등의 꽃말로 가을에 성숙해져서 겨울로 갈수록 더욱 붉어진다. 오가는 거리 건물 앞이나, 갓길 화단 어디서든 흔히 볼 수 있다.
임승유 시인의 시선은 흔한 것에서 낯섦의 형식으로 나아간다. 시집 해설을 변용해 이렇게 달리 말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어떤 것이 되기 위해 필요한 나와 그러나 그 나란 그 자체로 온전한 나가 아니라 나를 둘러싼 사람들의 기억, 무의식적인 행동, 그것에 대한 시선들이 얽혀 있는 나 그리고 알파라는 형식 말이다.
어떤 요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재료가 당연히 필요하듯, ‘나’에 대해 말하기 위해 ‘나’의 시선뿐만 아니라 나를 둘러싼 시선 또한 존재한다는 것을 이 시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시인은 식물과 공생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시간이 아닌 식물의 시간으로 삶을 헤아릴 수 있어야 함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말한다. 타인의 시선을 통해 자신을 보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낯선 시선으로 나를, 일상을, 삶을 바라볼 수 있을 때 삶을 헤쳐나가는 방법 하나쯤은 강구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동네에 가끔 들리는 카페가 있다. 카페 이름이 좋아서, 혹은 카페 주인이 금천이와 같은 친구여서. 다 떠나서, 그 작은 카페 통창 밖으로 작은 화단이 있다. 담장에 우드 울타리를 타고 남천이 자라는데 생명력이 남다르다.
화자가 말하는 것처럼 “엄청 크고 무성한 남천” 이를테면 식물의 상태가 언제나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한다.
얼마 전 작은 화분에 옮겨와 서재에 두고 보는데 시들하다. “생각날 때마다 창문 열어 주면서 물 주면서” 돌보는 데도 마음만큼 좋지 않다. 처진 생명을 보는 일은 슬프다. 지난 계절 시린 영혼을 보는 것처럼 덩달아 아프다.
시인의 시에서 남천이라는 이름을 만나고, 키우는 마음에 대해 생각했다. 남들이 다 가고 없는 겨울 화단, 늦은 계절 점입가경의 염을 담아 남천이라는 이름을 올린 태초의 사람, 키우는 자의 마음에 대해.
식물이든 사람이든 생명을 만지는 일은 어렵다. 제 살던 곳에서 조금만 환경이 바뀌어도 낯설어도 다치기도 쉽고 상하기도 쉬운 언어여서 말이다.
이만큼의 봄이 왔다, 순서대로 피고 또 질 것이다. 해마다 교정의 벚꽃 터널에서 단체 사진을 찍으며, 같은 듯 보여도 자세히 보면 조금씩 달라지는 구성원들을 발견한다. 생명의 연이란 그래서 귀하다.
얼른 가서 서재에 두고 온 남천을 돌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