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통계청 조사, 2023년 임금근로자 평균부채 5150만원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3-29 06:48 게재일 2025-03-29
스크랩버튼
- 남자 평균대출은 6377만원, 여자는 3717만원<br/>- 연령별로는 40대(7790만원), 30대(6979만원), 50대(5993만원) 순<br/>- 아파트거주자 부채(6265만원)가 최다, 단독주택 거주자 연체율(1.39%)이 최고
2023년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 및 연체율 추이.                     /통계청 제공
2023년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 및 연체율 추이.                     /통계청 제공

임금근로자들의 부채가 2023년에도 전년에 비해 조금씩 상승하고 연체율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2023년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액은 5150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0.7%(35만원) 증가하고, 연체율(대출잔액기준)도 0.51%로 전년보다 0.08%포인트가 높아졌다.

성별 평균대출은 남자 6377만원, 여자 3717만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은 비슷했으나 남자(0.6%)보다 여자(1.1%)의 부채 증가폭이 약간 높았다. 반면 연체율에서는 남자 0.57%, 여자 0.40%로 남자의 연체율이 높았다.

연령별 평균대출액은 40대(7790만원), 30대(6979만원), 50대(5993만원) 순으로 연령대가 낮을 수록 대출액이 높았으나 전년대비 증가율은 40대(2.0%), 70세 이상(1.4%) 등이 높았다. 연령별 연체율(대출잔액 기준)은 60대(0.86%), 50대(0.66%), 70세 이상(0.65%) 순으로 분석됐다.

2023년 임금근로자의 성별, 연령별, 주택유형별 평균대출 및 연체율 비교. /통계청 제공
2023년 임금근로자의 성별, 연령별, 주택유형별 평균대출 및 연체율 비교. /통계청 제공

주택유형별 평균대출액은 아파트(6265만원) 거주자가 가장 많았고, 전년대비 대출액 증가율도 아파트(0.3%)는 증가한 반면 오피스텔·기타(-2.3%) 등은 감소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등이 아파트분양가 상승 등과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연체율에서는 단독주택(1.39%)이 가장 높았고, 아파트(0.29%)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구간이 높을수록 평균대출액이 원리금상환비율 등의 영향으로 많아지는 경향, 소득구간이 높을 수록 연체율은 낮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또 대출건수가 많을수록 평균대출액도 많아지며, 연체율도 대출건수가 많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규모별 평균대출은 대기업 임금근로자(7782만원), 비영리기업(4935만원), 중소기업(4299만원) 순이었고 전년에 비해 중소기업(2.2%)은 증가한 반면, 비영리기업(-1.7%), 대기업(-0.5%)은 감소했으며 연체율도 중소기업(0.82%), 대기업(0.29%), 비영리기업(0.23%) 순으로 높았다.

산업별 평균대출은 금융·보험업 임금근로자(1억27만원)가 가장 많았고, 숙박·음식(2154만원)이 가장 적었다. 이는 같은 금융권 종사자들의 경우 신용대출 등 대출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은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연체율은 경기 변동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건설업(1.28%)이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직업군에 속하는 교육(0.16%)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