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과 안동시 일대에서 진행 중인 대형 산불이 확산 되면서 영주시는 산불 취약지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26일부터 대피 조치를 내렸다.
의성, 안동과 인접한 평은면, 문수면, 장수면, 이산면을 중심으로 26일 오후 6시부터 1차 대피를 시행했다.
이 지역은 의성, 안동과 인접한 지역으로 화재 확산시 큰 피해가 예상 되는 지역이다.
이번 대피는 26일 이재훈 영주시장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긴급 대책회의에서 취약지구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사전 대피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시행 됐다.
1차 대피는 각 마을의 경로당, 마을회관 등 안전 거점 시설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대피는 노약자와 취약계층을 우선으로 안전하게 이루어졌다. 인원은 총 152세대 159명이다.
주민들은 “산불 확산이 멈추기를 바란다, 비가 내려 모든 사람들의 걱정이 해소 됐으면 좋겠다”며“주민들을 구하다 희생한 모든분들에게 가슴 깊이 애도의 뜻을 전한다”고 입을 모았다.
시는 산불 확산 상황에 대비해 학교 등 대규모 시설을 활용한 2차 대피 계획도 마련했다.
현재 관내 각급 학교 등 총 25곳을 2차 대피소로 지정해 최대 8674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했다.
대규모 대피 상황에 대비해 동양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폴리텍대학 등 관내 대학과 종교시설을 추가 대피소로 지정하기 위한 협의를 병행하고 있다.
시는 위험도에 따라 1차·2차로 구분된 단계별 대피 계획을 수립하고 읍면동과 사전에 공유해 실질적인 대응 체계를 갖췄다.
산불 위험이 다소 완화됨에 따라 대피 주민들은 27일 오전부터 귀가 조치가 실시 되고 있다.
강신혁 안전재난과장은 “예측이 어려운 산불 확산 상황에 대비해 단계별 대응을 체계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