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부실기업은 2019년 이래 최대인 4466개<br/>- 금융업 제외 외부감사법인 3만7510개중 11.9%가 자본잠식
지난해 자본잠식에 들어간 부실기업은 외부감사법인 10곳중 1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이 발표한 ‘기업부실예측분석을 통한 2024년 부실기업 진단’에 따르면 비교적 규모가 있는 주식회사 등에게 외부감사가 의무화된 법인(이하 외감법인)가운데 완전자본잠식상태에 놓인 부실기업이 전체 외감법인 3만7510개중 4466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부실기업 수는 전년(2023) 보다 116개가 증가했고, 전체 외감법인 대비 부실기업 비중은 11.9%로 5년전인 2019년(7.9%)에 비해서는 4.0%p나 늘어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에 대해 한경협은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업황 부진,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된 때문으로 풀이했다.
외감법인들의 부실확률을 높인 주된 업종으로는 부동산·임대업(24.1%)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전기·가스·증기·수도업(15.7%),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2%),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14.0%) 순으로 부실 확률이 높았다.
지난 5년간 부실확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으로 2019년(3.3%)의 2배에 가까운 6.1%로 높아졌다. 이는 고물가로 인한 건설 수주 부진 지속과 지난해 3분기까지 이어진 고금리, 부동산PF 부실 등을 이유로 꼽았다.
부실확률이 가장 낮았던 업종은 제조업(2.8%)이었고, 이어 도소매업(4.1%),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4.3%),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업(5.7%) 순이었다.
5년전에 비해 부실확률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업종은 건설업 외에 전문과학(1.8배), 광업(1.6배), 정보통신업(1.5배), 교육서비스(1.5배)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이 늘어나면 실물경제 악화와 함께 금융시장 리스크가 확대돼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높아진다”면서 “자금조달 비용 완화와 유동성 지원으로 부실위험을 줄이는 한편 원활한 사업재편을 저해하는 상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