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기산업기사·산림기능사… 자격증 따면 1년내 취업률 70%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3-20 16:48 게재일 2025-03-20 6면
스크랩버튼
노동부, 취업 유리한 자격증 분석<br/>기사 자격증 취득 58.9% 취업<br/>컴활·지게차운전 자격증 인기<br/>男, 기계정비·전기산업기사<br/>女, 웹디자인 자격증 취업률↑
자격등급별 취업률 분석.                                                                   /고용노동부 제공
자격등급별 취업률 분석.                                                                   /고용노동부 제공

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이 따로 있었다. 20일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2023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2024년 고용상태를 건강·고용보험 가입여부를 통해 취업에 유리한 국가기술자격을 분석해 공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국가기술자격 취득자(74만명, 2023년 취득) 중 미취업자(44만5000명, 60.1%)의 절반 정도(47.5%)가 1년 이내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취득자와 미취득자의 취업률 차이는 7.9%p이며, 취업자 1만명이상 기준으로 기사 등급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고(58.9%), 산업기사 등급(56.2%), 서비스 분야(47.3%), 기능사 등급(44.1%) 순이었다.

가장 많이 취득하는 국가기술자격은 컴퓨터활용능력, 지게차운전기능사, 산업안전기사, 굴착기운전기능사, 전기기능사 순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 기준으로 취득인원이 1000명 초과한 자격 중 취업률이 가장 높은 종목은 전기산업기사(73.9%), 산림기능사(71.9%), 산업위생관리기사(71.5%)였다. 취득인원 1000명 이하 200명 초과인 종목은 에너지관리산업기사(79.4%)와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76.9%)가 높았고, 취득인원이 200명이하인 종목 중에서는 승강기기사(82.1%) 및 생산자동화산업기사(81.1%)가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국민들이 선호하는 자격과 취업률이 높은 자격에 차이가 있었고 직종규모에 따라 취업 경쟁력이 높은 자격 또한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1000명을 초과한 미취업자가 취득한 자격기준으로 연령별, 성별에 따른 취업률이 높은 자격에도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으로는 청년층(19~34세)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5%), 전기산업기사(64.3%), 산업위생관리기사(61.2%) 순, 고령층(55세 이상)은 전기기능사(58.1%), 한식조리기능사(54.3%), 조경기능사(50.3%) 순이었다.

성별 분석에서는 남성 취득자의 경우 기계정비산업기사(67.0%), 전기산업기사(66.9%), 공조냉동기계기능사(57.9%) 순, 여성은 웹디자인기능사(57.8%), 컴퓨터활용능력2급(53.3%), 직업상담사2급(51.5%) 자격 순으로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성별 분석결과 집단별 선호 자격과 취업률이 높은 자격이 달라 개별 특성에 맞는 취업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용노동부 임영미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국민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자격을 취득하고 있어, 많이 취득하는 자격과 취업이 잘 되는 자격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이번 분석 결과는 취업을 목적으로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는 구직자들이 취업에 유리한 자격을 선택하여 취업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