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증오를 선동하는 정치

등록일 2025-03-17 19:29 게재일 2025-03-18 19면
스크랩버튼
변창구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정치학
변창구 대구가톨릭대 명예교수·정치학

정치판이 ‘증오와 저주의 굿판’이다. 진영으로 갈라선 정치는 이미 전쟁이 된 지 오래고, 광장의 탄핵 찬반집회에서는 비난·욕설·저주가 난무한다. 통합의 구심점이 되어야 할 대통령은 갈등의 중심에 서있고, 여야 의원들은 자기편 집회에 참석해서 증오를 더욱 부추긴다. 온 나라가 총성 없는 심리적 내전상태다.

누가, 무엇을 위해 증오를 선동하는가? 국민을 빙자하여 권력투쟁을 벌이는 정치인들의 그 검은 속내를 모르는 사람이 있겠는가. 여야는 상대를 괴멸시키기 위해 ‘증오 마케팅’에 열을 올린다. 상투적 수법은 ‘정의로운 우리’와 ‘무도한 그들’로 나누어 적개심을 부추기는 것이다. 증오정치로 ‘주체적 시민(市民)’은 점차 이성을 잃고 감정에 따르는 ‘종속적 신민(臣民)’으로 전락했다. 그 결과 확증편향에 갇힌 정치팬덤들은 자기 진영의 돌격대로 기꺼이 선봉에 선다.

게다가 편향적 언론과 극단적 정치 유튜버들도 증오의 선동에 가세한다. 정치권과 연계된 당파적 미디어들은 정치적 증오를 돈벌이 수단으로 삼고 있다. 미디어와 정치권력의 공생관계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공정한 보도’가 아니라 보수 또는 진보의 이념에 부응하는 ‘편향적 나팔수’가 되는 것이다. 정치 유튜버들은 혐오를 부추길수록 조회 수가 늘어나고 더 많은 돈을 번다. ‘증오의 확대재생산’으로 그들은 돈을 벌고 나라는 망해간다.

이처럼 망국적인 증오정치를 어떻게 끝낼 것인가? 무엇보다 정치인들의 성찰과 반성이 시급하다. 권력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린 ‘품격을 잃은 보수’나 ‘개혁성을 잃은 진보’는 똑같이 나치 독일의 선동가 괴벨스(P. J. Goebbels)를 닮았다. 이성을 잃은 권력은 괴물이고, 괴물이 된 권력이 감성을 자극하는 선동정치가 바로 파시즘이다.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지도자들이 ‘증오의 프레임’에 갇히면 민주주의는 불가능하다. ‘증오는 편협을 초래하는 영혼의 타락’이다. 확증편향에 갇힌 정치인들이 독선과 아집을 버릴 때 비로소 민주주의는 다시 회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괴물이 되어버린 정치인들에게 반성을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주권자의 각성과 혜안(慧眼)’이 매우 중요하다. 역사학자 리처드슨(H. C. Richardson)은 “민주주의는 총구가 아니라 투표함에서 죽는다.”고 하면서 “유권자가 깨어 있지 않으면 정치인들은 히틀러(A. Hitler)처럼 대중을 선동해서 권력을 잡는다.”고 했다. 선동정치는 분노를 먹고 자라기 때문에 국민들이 선동 당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깨닫지 못하면 백약이 무효다.

따라서 주권자는 ‘선동에 휘둘리는 감정’을 억제하고 ‘잘잘못을 가려내는 이성’의 눈을 밝혀야 한다. ‘비판은 이성에 호소’하는 것이지만, ‘선동은 감성을 자극’하는 것이다. 증오의 감정에 지배당하면 이성적 판단을 그르친다. 민주주의는 관용과 절제, 대화와 타협이라는 ‘이성의 작동’을 전제로 하고 있다. 선동정치에 휘둘려서 이성을 잃으면 ‘독재의 문’이 열린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세상을 보는 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