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가계대출 4조3000억↑… 주담대 5조원↑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3-13 19:55 게재일 2025-03-14 6면
스크랩버튼
금융위, 2월중 가계대출 동향

가계대출이 지난 1월 감소한지 한달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금융위원회가 12일 발표한 ‘2025년 2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2월중 총 4조3000억원이 증가해, 전월의 감소(-9000억원)에서 한달만에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중 주택담보대출이 5조원 증가해 1월(3조2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은 전달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1조7000억원 → 3조5000억원)됐고, 제2금융권은 전달과 유사한 증가폭(1조5000억원→1조5000억원)을 유지했다. 기타대출은 6000억원 정도가 감소해 전 달(4조1000억원)보다 감소폭이 축소됐다. 이는 신용대출이 증가세로 전환(1조5000억원감소→1000억원 증가)된 것 등의 영향때문으로 풀이된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3000억원이 증가해, 전달 감소에서 다시 증가로 전환되었으며, 정책성대출은 전달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의 자체 주택담보대출도 증가세로 전환(6000억원 감소→ 6000억원 증가)됐으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같은 기준 감소폭이 축소(2조1000억원 감소→2000억원 감소)됐다.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모두 1조원정도 증가해 전달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됐다. 이가운데 상호금융권과 여전사는 증가로 전환된 반면, 저축은행은 감소로 전환되고, 보험은 전달에 비해 감소폭이 축소됐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금융당국은 “2월 가계대출은 금융권이 연초 새로운 경영목표 하에서 가계대출 취급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수요 등이 겹치며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하면서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가계부채 관리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관계부처간 긴밀한 공조 아래 지역별 주택시장 상황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