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br/>10차 인구비상대책회의<br/>다자녀 가구와 주거 집중 지원<br/>초고령화 대응 ‘에이지 테크’도
정부가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세부 대책을 시행한다.
정부는 지난 11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제10차 인구비상대책회의를 개최해 △지난해 6월 저출생 대응방안에 대한 보완과제 △초고령화대응방향: Age-Tech기반실버경제육성전략,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산업·직업별 고용전망 및 정책방향 등을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저출생 대응과 관련해서는 최근의 출산율 반등세를 굳히기 위해 다자녀가구 지원, 주거 지원 등 국민 체감도가 높은 분야에 대한 추가 보완과제를 마련했다. 먼저 다자녀 가구의 생활밀착형 혜택 강화를 위해 △올해 6월까지 인천공항을 비롯 제주·김해·김포공항에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의 공항이용 시 우선출국 서비스(패스트트랙)를 신규 도입하고 △호텔협회 등 관련업계와 함께 다자녀 가구의 호텔 이용 편의증진을 다각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주거 분야는 공공분야 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든든전세 입주자 선정 시 신규 출산가구 가점 상향(1→2점) △전세임대(신혼·신생아Ⅱ 유형) 맞벌이 소득기준 상향(120→200%), 공공지원 민간임대(신혼부부 유형) 맞벌이 소득기준 신설(200%) △매입임대·전세임대 입주자 선정 시 ‘자녀수’ 항목 배점 상향(최대3→4점) 등의 방안을 세웠다.
또 일·가정 양립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업 양육지원금에 대한 근로소득세 비과세 한도를 최대 월 20만원(자녀수 무관)에서 자녀 1인당 월 20만원으로 상향한다.
초고령화 사회대응을 위해서는 5대 중점 Age-Tech 분야(AI 돌봄로봇, 웨어러블·디지털의료기기, 노인성질환치료, 항노화·재생의료, 스마트 홈케어)를 선정해 집중·대폭 투자한다.
정부는 3000억원 규모의 디지털 대전환 Age-Tech 플래그십 프로젝트 기획 추진하고, 올해 500억원 규모의 바이오 투자펀드도 신규 조성한다. 재생의료 치료대상자의 범위를 안전성을 전제로 현재 중대·희귀·난치 질환에서 노인성·퇴행성질환 등으로 확대하고, 자가유래 줄기 배양세포에 대한 치료를 확대하며 △Age-Tech 복지용구에 대한 장기요양보험급여 확대 및 스마트경로당 2000개소 구축 등 초기수요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김진홍 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