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라문화원이 지난 6일 ‘2025년, 경주문화유산해설사 양성교육’을 개강했다.
이 교육은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 후원으로 지난 2022년 시작 이후, 총 700여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이번 학기 교육 수강생은 오전반 60명, 저녁반 60명으로 4인의 강사가 담당하는 각 4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1~4주는 차윤정 학예실장(불국사박물관)이 ‘불국사 백 년의 이야기’를 주제로 △일제강점기와 1969년~1973년에 걸친 보수·복원공사를 통해 일신된 불국사의 면모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백여년에 이르는 동안 불국사에 일어난 다양한 변화에 대해 교육을 한다.
5~8주는 송은석 교수(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가 ‘신라의 불교조각’을 주제로 △관음신앙과 관음보살상 △굴불사지 사면석불 △미륵신앙과 미륵불보살상 △경주 기림사와 조선 후기 불석제 불상에 대해 한다.
9~12주는 정인성 교수(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가 ‘조선고적조사 예비조사와 1915년의 보충조사 재검토’를 주제로 △조선고적조사 사업의 전개 △세키노 다다시와 1902년의 경주 답사 △1909년 황남동 서악리 고분 발굴의 뒷이야기 △1915년 보문리 발굴조사 막전막후에 대해 한다.
13~16주는 박홍국 교수(위덕대학교 전,박물관장)가 ‘신라의 석조 문화재와 우리나라의 전탑’을 주제로 △당간지주의 발생과 형태변화 △신라비석 꼼꼼하게 살펴보기 △신라 석조 장인들의 기량 △우리나라의 전탑에 대해 강의한다.
신라문화원 진병길 원장은 “강의를 맡아주신 교수님들과 수강생들의 열정이 하나가 되어 경주의 문화유산을 깊이 이해하고, 가꾸며, 활용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열어드린다는 생각으로 큰 보람을 느낀다”고 밝혔다.
한편 신라문화원은 수강생들이 경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해설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계속 할 예정이다.
/황성호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