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올 1월 포항항 화물 물동량 작년보다 34.6%나 줄었다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3-03 20:11 게재일 2025-03-04 2면
스크랩버튼
철광석 수입 51%↓·철강제품 수입도 26% 크게 감소<br/>전문가 “철강산업·연관기업 등 타격 선제대책 필요”
포항신항 부두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모습. /경북매일DB

포항항의 올해 1월 항만물동량이 작년 동기 대비 및 전월 대비 모두 크게 감소했다.

3일 해양수산부의 ’화물 입출항현황’에 따르면 포항항의 올해 1월 총수출입 화물 물동량(M/T 기준, 이하 t)은 269만7865t을 기록해 지난해 1월(34.6%) 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같은 기준으로 수입은 231만t으로 3.7%가 줄었고, 수출은 39만1000t을 기록하며 16.5% 감소했다. 이는 포항항 화물물동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철광석 수입이 지난해 1월보다 절반 가까이(51.3%) 감소한데다 포항항의 수출입 물동량에 영향을 미치는 ‘철강 및 그 제품’(이하 ‘철강제품’)도 같은 기간 대비 21.8%가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철광석의 수입물량과 관련한 움직임은 포항제철소의 철강생산에 대한 선행지표나 마찬가지이다. 철광석 수입물동량이 감소한 것은 그만큼 앞으로 철강 경기의 불확실성 및 국내 수요부진 등을 고려하면 당분간 지역 철강업계의 생산활동이 활성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물론 포스코가 기존에 충분한 철광석 물량을 보유하고 있어 수입물량이 다소 줄어들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지만, 원자재 수입물량 감소가 나타내는 철강업 생산활동의 저하를 우려하지 않을 수는 없다.

철강제품의 수입물량도 잘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철강제품은 지난해 1월에 비해 26.3% 감소했다.

지금 경기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동행지표로는 포항항을 통한 철강품의 수출물동량인데, 이는 지난해 1월보다 19.7%가 줄었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당분간 지역 철강산업의 활발한 생산활동보다는 현상유지에 머무르거나 공장가동률이 더 떨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문에 지역의 경제주체들은 각 시나리오별 선제적인 대비책을 마련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역 경제에 밝은 한 전문가는 “지역 항만물동량의 위축은 철강산업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육상운수 등 지역 물류기업의 매출감소와 영업수익 악화 등으로 직결된다”고 말했다. 이어 “경북도와 포항시 등은 지역 기업의 경영 악화에 따른 지방세 납부 등 세수감소에 대비한 재정운용계획은 물론 지역 기업에 대한 지원대책도 다각적으로 마련해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