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산수이발관

등록일 2025-02-23 19:04 게재일 2025-02-24 17면
스크랩버튼
이발관.  /네이버 제공
이발관. /네이버 제공

가끔씩 그리운 곳이 있었다. 고교 시절 살던 집으로 여러 번 꿈에서도 나타났었다. 버스에서 내려 조금 걸으면 언덕길이 보였다. 오른쪽으로는 구멍가게 하나와 낮은 높이의 집 몇 채, 왼쪽으로는 이발관이, 언덕길 끝에는 교회가 있었다. 그 옆으로 난 세 갈래의 길 중에서 구불구불한 좁은 길을 가다보면 비슷한 모양의 집들이 자리하고 있었다.

잘 정리되지는 않았지만 꽤 넓은 마당이 있던 집이었다. 동생이 좋아하던 강아지를 키웠다. 하교 길에 사온 병아리도 가끔씩 삐약거리고 있었다. 화단에는 나팔꽃과 분꽃이 제멋대로 자라고 있었다. 잘 꾸며진 잔디가 있거나 조경이 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자연스러운 모습이 더 정감 가는 곳이었다. 밤에 마루에 누우면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이 눈길을 사로잡던 곳. 별을 보며 막연히 목성을 여행하는 꿈도 꾸고 달의 여신 셀레네의 전설에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글도 쓰곤 했다. 많은 것을 상상하며 꿈꾸던 시절이었다.

나만 그런 느낌을 가지고 있나 싶어 동생에게 물었다. 역시 그 집이 그립다고 했다. 우리 자매는 틈을 내어 그 집을 찾아가 보기로 했다. 왜 진작 가 볼 생각을 하지 못했을까 서로를 탓하면서.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고 가서 기억 속의 그 언덕길을 올라갈 때 가슴이 두근거렸다. 마치 첫사랑을 만나러 가는 것같이.

언덕길 중간 왼쪽 편에 이발관이 보였다. 어린 시절에 봤던 그 이름 그대로이다. 산수이발관. 몇 십 년의 시간이 훅 되돌려 감아졌다. 기대감이 들었다.오른쪽 편에 있던 자그마한 구멍가게는 그 자취도 남기지 않고 다 없어져버렸다. 언덕 위에 예전에 있었던 교회가 보였다. 기억 속의 모습이다. 비 오는 날 분홍색 우산을 들고 교회를 다니던 어린 소녀의 모습이 스치고 지나갔다.

혹시 우리가 살던 집도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에 부지런히 발걸음을 옮겼다. 교회에서 눈을 돌린 순간 우리는 ‘아’하는 소리만 냈을 뿐이다. 기억 속의 골목은 사라지고 쭉 뻗은 길에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었다.

갈 때는 둘이 많은 이야기를 하고 갔었다. 키우던 강아지 얘기, 피어있던 꽃들, 아버지에게 혼났던 일들을 주고 받으며 킥킥거렸었다. 돌아오는 길에 우리는 서로 얼굴만 가끔 쳐다보았을 뿐이었다.

그 날 살던 곳을 갔다 온 다음부터 그 집에 대한 꿈을 다시는 꾸지 않는다. 재건축되어 정비된 깨끗한 아파트의 모습이 좋아 보이기도 했지만 나의 아름다웠던 한 시절이 몽땅 옮겨져 어디로 사라져버린 것 같은 허전함을 버릴 수가 없었기 때문인 것 같다.

외국인들이 배워 익숙하게 쓰는 한국어 중에는 빨리빨리가 있다. 가전 AS도 빠르고 인터넷 설치나 배달이 세계적으로 알아 줄 정도의 빠름을 한국은 자랑한다. 그것이 우리나라가 지금의 발전을 이루는데 작은 원동력도 되었다. 그만큼의 적극성과 부지런함, 추진성이 있었으니 말이다.

전영숙 시조시인
전영숙 시조시인

얼마 전 예능 프로그램에서 인사동과 종로의 오래 된 곳을 찾아가 미션을 수행하는 것이 방영되었다. 인사동의 백 년이 넘은 최초의 필방에서는 옛 선조들이 쓰던 대나무 벼루, 옥으로 된 이동용 벼루를 소개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오래 된 설렁탕집이 마지막으로 3대째 이어온 한의원이 소개되었다.

그 프로를 보면서 옛것을 잊지 않고 지켜가는 모습에 감명을 받았다. 한 시대의 작은 역사가 그 가게 안에 흐르고 있었다. 그것은 어떤 것으로도 살 수 없는 무형의 가치를 지닌 것이다.

문득 산수이발관이 떠올랐다. 아버지가 이용했었고, 많은 서민들이 이용하며 많은 사연과 이야기가 고여 있을 그곳. 대부분의 가게가 영어와 외국어를 섞어 쓰고 있는 요즘에 몇 십 년의 이름을 그대로 쓰며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이발관의 뚝심을 배우고 싶다.

발전을 위한 빠른 변화도 우리에겐 필요하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대를 넘어가며 그 자리를 지켜가는 그런 가게들에서 연륜과 지혜와 역사를 느끼는 것은 나만이 아닐 것이다. 조만간 그 이발관을 다시 가보고 싶다. 어쩌면 아름다운 추억 한 토막이 다시 떠오를 것도 같다. /전영숙 시조시인

전영숙의 茶 한잔의 생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