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이 △8천억 예산 시대 개막 △40만 생활인구 달성 △더 풍요롭고 잘사는 청도 건설 등을 2025년 군정 3대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청도군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의 7.8배를 초과하는 34만 명으로 경상북도 내 1위, 전국 7위를 기록하며 청도의 발전 가능성을 증명했다.
또 2026년부터 지자체에 배부하는 보통교부세 산정 기준에도 생활인구를 반영하는 내용을 입법 예고해 생활인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청도군은 이에 맞춰 정주와 체류 인구를 포함한 생활인구 늘리기 정책을 발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군은 2025년 행정안전부의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아 역대 최대 규모인 160억 원의 기금을 확보했다.
이는 경상북도에서 지원한 광역기금을 포함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 472억 3800만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해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심혈을 기울여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한 결과다.
청도군은 생활인구를 늘리기 위한 중점사업으로 지역 중심 생활권에 주거와 문화, 일자리 등 생활 인프라와 복지서비스가 결합한 복합생활거점조성과 대중교통 개선사업을 연결한 ‘모이다, 콤팩트시티 청도’ 사업에 112억 7000만 원의 기금을 투입해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또 관계 인구를 늘리고자 외국인 근로자의 장기 체류와 정착 유도를 위한 농업인력 숙소인 글로벌 드림스테이를 건립하고 외국인 생활인구 유입과 외국인 인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외국인 지역사회 교류정착프로그램 등에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다.
빈집을 리모델링해 임대료 월 1만 원의 주택을 공급하는 ‘청도 만(萬)원주택사업’에도 5억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투입해 정주 인구 확보에 혁신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청도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을 통한 ‘생활인구의 관계 인구화, 관계 인구의 정주 인구화’로 생활인구 40만 명 달성은 물론, 이들이 청도에 관심을 두고 관계를 맺도록 유도해 지방소멸 청도를 미래 성장 도시 청도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