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수출 상위 10개국과 대미 흑자 상위 10개국중 8개국 일치<br/>트럼프, 흑자국에 관세부과 본격화되면 해당국도 ‘보복 도미노’<br/>道-지역 수출기업 긴밀한 소통 ‘미+7개국’ 대응 전략 마련해야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여파가 경북 수출업체에는 더욱 크게 확대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미 포항의 철강, 경주의 자동차부품에 이어 구미의 반도체까지 미국발 관세 영향권에 들어간 상태지만, 상호관세 부과에 부가가치세까지 거론되기 시작했다.
경북은 지난해 수출 403억 3051만달러, 무역수지는 222억 3282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그 중 경북의 수출 상위 10개국이 차지하는 수출 비중은 69.7%, 무역흑자 비중은 83.6%에 이른다.
문제는 경북 수출 상위 10개국과 대미 수출 흑자 상위 10개국 중 8개국이 일치한다는데 있다.
대미 수출 흑자국 1위는 중국이고, 이어 2위 멕시코, 3위 베트남, 4위 아일랜드, 5위 독일, 6위, 대만, 7위 일본, 8위 한국, 9위 캐나다, 10위 인도 등이다.
이 가운데 경북의 지난해 수출 상위 10개국은 중국(32.0%, 경북 총수출대비 비중, 이하같음), 미국(16.2%), 베트남(6.0%), 일본(5.0%), 인도(3.5%), 멕시코(2.6%), 헝가리(2.6%), 튀르키예(2.3%), 캐나다(2.2%), 대만(2.2%)이다. 미국의 5위 독일은 경북의 11위(1.9%)여서 이 또한 간과하기 어렵다.
만약 미국이 흑자국을 대상으로 관세 부과조치를 본격화한다면 해당국들도 보복조치에 나설 가능성도 크다.
이처럼 관세전쟁이 확산된다면 경북은 미국 뿐 아니라 여타 수출상위 7개국의 움직임에도 영향을 받아 수출전선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4일 트럼프발 관세조치 등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경제단체를 초청해 종합적인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우리나라의 평균 최혜국 대우(MFN; Most Favored Nation) 관세율은 약 13.4% 수준이나, 대부분의 국가와 FTA를 체결해 FTA 체결국가로부터 수입되는 물품에 대해서는 MFN 세율보다 낮은 수준의 FTA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세계무역기구(WTO)가 공시하고 있는 평균수입관세율을 보면 대미 수출 흑자 상위국과 경북의 수출 상위국이 중복되는 국가 중 한국(13.4%) 보다 수입관세율이 높은 국가는 인도(17.0%)뿐이다.
나머지 국가들은 베트남(9.4%), 중국(7.5%), 멕시코(6.8%), 독일(5.0%), 캐나다(3.8%), 일본(3.7%) 순이지만 모두 한국보다는 평균수입관세율이 낮다.
앞으로 경북도는 당장 발등에 떨어진 트럼프 행정부발 대미 통상 협상 등의 문제를 중앙정부에 맡겨 두더라도, 미국 외 경북의 주요 수출국에 대한 대응전략은 지자체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강구해 나가야 할 처지이다.
수출업계 관계자들은 ”철강금속 등의 업종은 물론 여타 업종가운데 경북 수출 상위국에 수출중인 지역 업체의 현황 파악과 함께 지역 수출기업과의 긴밀한 소통과 지원체제 구축 등 대응책을 서둘러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홍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