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행복진흥원이 대구 여성의 삶을 기록한 책 대구여성 생애 구술사 제11권 ‘대구 원로(元老) 여성’을 발간했다.
대구여성 생애 구술사는 지난 2014년부터 매년 대구 여성들의 이야기를 담아 발간하고 있다.
2014년 ‘섬유’, 2015년 ‘시장’, 2016년 ‘의료’, 2017년 ‘예술’, 2018년 ‘패션·미용’, 2019년 ‘방문판매’, 2020년 ‘집(家)’, 2021년 ‘교육’, 2022년 ‘차(車)’, 2023년 ‘이주’, 2024년 ‘원로’를 주제로 대구의 역사와 여성의 삶의 교차 부분을 조명했다. 올해 발간한 대구여성 생애 구술사는 7명의 생애 구술을 담았다.
대표적으로 김지희(87) 구술자는 6·25전쟁으로 명맥이 끊기다시피 한 한국의 자연염색을 최초로 학문화했다. 일본, 중국에서 자연염색 재료가 되는 식물의 씨앗을 구해와 직접 재배하고 염색해 이를 현대미술 작품으로 세계에 널리 알리기도 했다. 또 2005년 팔공산 자락에 자연염색박물관을 개관하고, 자연염색 전통과 현대를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영제시조 무형유산인 박선애(98) 구술자는 1968년 이기릉 선생을 만나면서 명맥이 끊길 뻔한 영제시조를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특히 어린 시절 일제 강점기 경험을 매우 상세하게 구술해 귀한 자료가 되고 있다. 남편이 6·25전쟁에 징집되어 부재하던 시기, 잔치 음식으로 전국에 이름을 떨치며 가정 경제를 책임졌던 강인한 여성의 삶을 들려준다.
배기철 대구행복진흥원 이사장은 “치열하게 살아온 원로들 덕분에 오늘의 대구 사회가 있는 만큼 격정적으로, 때로는 눈물지으며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신 구술자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행복진흥원은 대구여성 생애 구술사 11권을 재구성한 책 ‘대구의 기억 여성의 기록’도 함께 펴냈다.
/황인무기자 him794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