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캐나다 대사를 단장으로 한 비즈니스 사절단 포항 방문<br/>이차전지 산업 현장 시찰 및 협력 방안 모색
포항시가 글로벌 배터리 선도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캐나다와 배터리 순환 경제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본격화하고 나섰다. .
주한 캐나다 대사를 단장으로 하는 캐나다 비즈니스 사절단이 15일과 16일 양일간 포항의 이차전지 산업 현장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주한캐나다대사관의 제안으로 성사됐으며, 포항의 배터리 자원 순환 현장 시찰과 함께 양국 기업 간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 공동 연구 및 시범 프로젝트 추진 등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절단은 한국의 이차전지 순환 경제 현장을 견학하고 한국 기업들과 실질적인 협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관련 기업 12개사, 주한캐나다대사관, 캐나다 외교통상개발부, 국가연구위원회 등 경제사절단 40여 명으로 구성되어 지난 13일 방한했다.
방문 첫날인 15일, 사절단은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의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를 찾아 사용후 배터리 평가 및 보관 시스템을 살펴보고, 오는 6월 준공 예정인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사업 현장을 견학했다. 이어 배터리 재사용 전문기업인 피엠그로우를 방문해 배터리 팩 개발, 배터리 구독서비스, 배터리 진단 및 인증, 재사용에 이르는 배터리 순환 경제 사업 현장을 둘러보며 기업 간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포항시-캐나다 비즈니스 네트워킹 간담회에서는 양국 이차전지 기업 간 비즈니스 협력과 신기술 실증 프로젝트 공동 추진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자리에는 이강덕 포항시장과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를 비롯해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홀딩스, 네이처이앤티, 엔다이브, 투엔, 비에스원, 씨티에이 등 지역 이차전지 기업 7개사의 임직원들이 참석해 캐나다 기업과의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타마라 모휘니 주한 캐나다 대사는 “캐나다의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대한민국을 오랜 경제·국제적 파트너로 삼고 있다”며 “특히 친환경 기술 실증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해 실제 비즈니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사절단과 포항을 방문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이강덕 포항시장은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이차전지 시장에서 오랜 우호 관계를 다져온 캐나다와 비즈니스 협력을 강화하는 기회가 됐다”며 “포항의 기술력과 캐나다의 자원이 상호협력해 지방에서 혁신산업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사절단은 16일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인 영일만 산업단지에 위치한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공장 및 에코프로 포항 캠퍼스를 방문해 포항 배터리 산업 클러스터 현장 시찰을 끝으로 포항 방문 일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번 캐나다 비즈니스 사절단의 포항 방문은 포항시의 이차전지 기술력과 캐나다의 자원이 결합해 글로벌 배터리 순환 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