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중과 지식인

등록일 2025-01-12 18:08 게재일 2025-01-13 19면
스크랩버튼
김규종 경북대 교수·인문대학
김규종 경북대 교수·인문대학

19세기 후반 유럽에는 이른바 ‘프티부르주아’가 대대적으로 늘어난다. 그들은 지적(知的)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신문과 잡지를 읽을 줄 알고, 일부는 부유층으로 편입된다. 그들은 문화-예술적으로 고도한 수준의 귀족이 향유(享有)한 것들을 싸구려로 변용한 키치(Kitsch) 문화가 20세기 초에 널리 유행하는데 앞장선 계층이기도 하다.

어느 날 갑자기 호텔, 미술관, 박물관, 카페, 극장 등지를 점령한 일군의 프티부르주아를 가리켜 오르테가 이 가세트는 대중(mass)이라 명명한다. 스페인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그는 1929년 출간한 ‘대중의 반역’에서 대중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그는 역사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철부지이자 의무는 팽개치고 권리만 주장하는 응석받이로 대중을 규정한다.

대중과 대척적인 위치에 자리하는 지식인을 그는 상층권위나 세습 귀족이라 부른다. 20세기 이전에 그들은 사회와 국가를 주도했지만, 20세기 20년대 이후 대중은 그들의 지도와 편달을 거부하기 시작했다고 그는 진단한다. 그리하여 대중은 지식인에게 반기를 들면서 반역을 시도하고 있으며, 상층권위를 소유한 지식인들은 대중에게서 탈주(脫走)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대중의 폭주로 인해 사회와 국가 혹은 대륙 전체가 동요하기 시작했다는 데 있다. ‘민주주의는 항상적(恒常的)인 국민투표’라는 아나톨 프랑스의 지적처럼 다수를 차지하는 대중의 반역이 역사와 문화의 광범위한 후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것이 오르테가 이 가세트의 지적이다. 그는 이런 논의를 유럽 연합 출범의 당위성과 필연성으로 귀결한다.

요즘 우리나라에서 펼쳐지는 고통스러운 내란 상황을 보면서 지식인과 대중 사이의 되먹임 구조가 아프게 다가온다. 일부 극우 유튜버와 그들을 지지하고 옹위하는 소위 ‘보수’를 자처하는 대중 사이의 관계가 상호 의존적인 공생과 먹이 사슬 구조를 구현한다. 제한적이지만 지식과 정보를 소유한 유튜버들은 왜곡된 정보를 생산하고, 무비판적인 대중은 그것을 유통하고 소비한다. 그리고 유튜버들은 그 대가로 소위 유명세와 경제적 반대급부를 보장받는 것이다.

문제는 여기 멈추지 않는다. 그들과 결탁하거나 의지하는 일부 국회의원들은 앞장서서 극우의 정치-경제적 터전을 마련해주고 그 대가로 정치적 입지를 보장받으려 한다. 그리하여 정보와 지식 면에서 취약한 70대 이상 노인 계층과 정치적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일부 청년세대가 그들의 적극적인 포섭대상으로 노출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엊그제 국회에 등장한 ‘백골단’은 이런 양태가 가장 조악하고 사악하며 야만적으로 구현된 형식이다. 1980년 5월 광주 학살로 등장한 전두환 학살 군부의 극악한 조력자로 노동자와 대학생, 시민을 폭력적으로 제압하고 고문한 자들이 백골단 소속 사복(私服)이었다. 민주주의를 압살함으로써 우리의 정치와 역사를 왜곡하고 타락시킨 백골단이 2025년에 다시 나타나다니?!

돈과 권력이 보장된다면, 조국과 민족과 역사는 언제든 팔아먹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대중에게 빌붙는 지식인들은 민주주의 대한민국에서 살 자격이 전혀 없음을 꼭 명심했으면 한다.

破顔齋(파안재)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