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밀로스 포만 감독의 ‘아마데우스’를 다시 보면서 상념에 잠긴다. ‘아마데우스’는 1984년 제작되어 한국에서는 1985년에 개봉되었다. 당시 나는 음악에 문외한(門外漢)이었는데, 동생이 입장권을 구해준 덕에 난생처음 음악영화를 보는 귀한 경험을 하였다.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나는 사실은 160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를 만큼 영화에 몰입했다는 점이다.
주지하는 것처럼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1791)는 불세출(不世出)의 천재 작곡가다. 그의 적대자로 설정된 안토니오 살리에리(1750~1825)는 모차르트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재능의 소유자로 그려진다. 영화 전편(全篇)에 깔린 살리에리의 절망적인 한탄과 출구 없는 상황은 마침내 그를 치매 수준의 노인으로까지 몰고 가는 극적인 결말로 우리를 인도한다.
40년 전 ‘아마데우스’를 처음 보았을 때나, 이번에 다시 보고 나서도 나를 사로잡는 문제의식은 천재와 범재에 관한 것이다. 천재는 선천적으로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을 일컫는다. 어떤 특별한 각고의 노력을 하지 않아도 남보다 훨씬 더 높은 경지에 어렵지 않게 도달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의 소유자를 우리는 천재라 부른다.
밀로스 포만은 모차르트의 천재적인 면모를 여러 각도로 보여준다. 이를테면 모차르트는 집 안에 있는 당구대에서 공을 굴리면서, 아내와 잡담을 해가면서 능수능란하게 작곡한다. 반면에 살리에리는 오직 작곡에만 몰두하면서 하나하나의 음을 직접 피아노로 확인해야 근근이 작곡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런 현저한 대조가 영화 전편에서 두드러지게 그려진다.
남달리 엄격하고 까다로운 모차르트의 아버지가 아주 어릴 적부터 자식에게 가혹할 정도로 음악 훈련을 시켰다는 사실은 드러나지 않는다. 반면에 모차르트의 천부적인 재능을 시기하고 선망하는 살리에리의 신을 향한 분노와 바닥 모를 절망이 강조된다. 그런 까닭에 관객은 천재 모차르트와 범재 살리에리 사이의 범접할 수 없는 거대한 간극(間隙)을 곳곳에서 확인한다.
천재에 관한 가장 감동적인 이야기를 나는 만화가 이현세 선생의 일화로 들었다. 타고난 만화가의 자질을 가진 동료의 아스라한 높이에 전혀 미칠 수 없었던 이현세는 하루에 100장씩 단 하루도 빠지지 않고 30년 동안 그렸다고 한다. 그리하여 많은 세월이 흐른 후에 이현세는 천재 동료가 넘을 수 없던 절망과 탄식의 관문을 먼저 통과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살리에리와 이현세의 이야기에서 느끼는 소회는 단출하다. 그것은 거대한 재능을 타고나지 않았다 해도 후천적인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자명한 이치다. 사람들은 피눈물 나는 처절한 연습과 반복으로 자유자재한 경지에 이르는 초인적인 노력은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애초부터 그런 생각은 아예 머릿속에 없다. 그것은 딴사람 이야기일 뿐이다.
세상은 소수의 천재와 다수의 범재로 이뤄져 있다. 양자의 조화로운 공존과 협력으로 세상은 전진해왔다. 다수 범재가 소수 천재를 겁박(劫迫)하는 21세기 정치지형은 우리에게 ‘아마데우스’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라고 속삭인다. 다수와 소수가 공영하는 세상을 꿈꾸는 아침이다.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