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첫 줄이 써진다면

등록일 2025-01-05 19:46 게재일 2025-01-06 17면
스크랩버튼
이희정 시인

흰쌀이 익어 밥이 되는 기적을 기다린다

식기를 가지런히 엎어두고

물기가 마르길 기다리듯이

푸릇한 것들의 꼭지를 따서 찬물에 헹군다

비릿한 것들의 상처를 벌려 내장을 꺼낸다

(중략)

슬픔을 슬퍼하는 사람이 오로지 슬퍼 보인다

사람인 것에 지쳐가는 사람만이 오로지 사람다워

보인다

안식과 평화를 냉장고에서 꺼내 아침상을 차린다

나쁜 일들을 쓰다듬어주던

크나큰 두 손이 지붕 위에서 퍼드덕거릴 때

햇살이 집안을 만건곤하게 비출 때

미역이 제 몸을 부풀려 국물을 만드는 기적을

간장 냄새와 참기름 냄새가 돕고 있다

살점을 떼어낸 듯한 묵상이

눈물처럼 밥상에 뚝뚝 떨어진다

쪼그리고 앉아 무릎을 모은다

-김소연, ‘생일’부분, (‘수학자의 아침’, 문학과지성사, 2013)

운명이 중력에 맞서는 힘겨운 날들이다. 하루키는 “역사가 인간에게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명제는‘그 당시 앞일이 어떻게 될지는 어느 누구도 알지 못했습니다’라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했다.(1Q84) 김소연 시인(1967년~)은 “안식과 평화를 냉장고에서 꺼내”기적이라고 말하는 생일 밥상을 차려내고 있다.

시에서 화자는 눈처럼 흰 쌀밥을 지었지만, 나는 전날 밤 오래 삶아 놓은 팥에 찹쌀과 멥쌀을 반반 섞어 전기밥솥에 앉혔다. 팥은 나쁜 일을 막는 벽사진경의 염을 지녔다기에. 하지만 팬에 기름을 두르고 약한 불에서 센불로 이동하며 비릿하게 익어가는 해동 도미의 살냄새를 앓아야 했다. 거기에 푸른 잎사귀를 데쳐 조물조물 무친 나물에서 풍겨 나오는 참기름의 고소한 풍미까지.

다시 들춰 보는‘새천년 희망증서’는 오래전 즈믄둥이로 태어난 첫 아이에게 노벨평화상을 받은 대통령이 보낸 첫 증서였다. 함께 딸려 온 선물 모빌과 함께 출생아 조사라는 행정절차를 거치느라 늦게 당도했다.

언제나 기다리는 것들은 아직이거나, 때를 지나기 마련인가. 천장에 달린 모빌은 제때 기능하지 못했다. 그러나 누군가를 지나쳐 간 때란 누군가에는 쓸모가 되는 아이러니가 운명이고 중력이기도 해서 다음 아이에게 와서는 쓸모가 되기도 한다.

“슬픔을 슬퍼하는 사람”“사람인 것에 지쳐가는 사람”이 “오로지 슬퍼 보이”고“오로지 아름다워 보이”는 이 아이러니가 슬픔에 대한 애도가 아니라면 무엇이겠는가. 그러니 시집 발문에 얹힌 황현산의“씩씩한 시인 김소연이 가장 깊은 슬픔으로 짠 시간이기에 슬프다. 슬픔만이 진정으로 씩씩한 것을 만든다는 아이러니가 슬프다”는 위무의 서신마저 애도가 된다.

세상의 멸망을 막아 보겠다는 시인의 열망이 미명의 중력을 통과할 때 붉은 해가 떠오른다. 지난해 머나먼 타국 열기구 위에서 맞은 일출의 순간, 아스라한 상공을 오르기 전 열심히 반복 학습했던 건 다름 아닌 랜딩 연습이었음을.

“미역이 제 몸을 부풀려 국물을 만드는 기적” 그 위에 두 손 꼭 모으며 첫 줄은 써질 것이라는 희망에 간절함을 얹어 보는 것이다.

“햇살이 만건곤하게 비출 때”

이희정의 월요일은 詩처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