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진입한 707특임대 소속 사병들이 뇌리(腦裏)에 오래도록 남아있다. 707특임대는 대한민국 최정예 특수부대로 대테러 작전, 인질 구출, 특수작전처럼 국가적으로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주요한 임무다. 707특임대는 테러 위협에서 우리 조국 대한민국을 지키는 최후의 방패로 불리며, 뛰어난 전투 능력과 고도의 훈련을 자랑한다.
그런데 707특임대 사병들이 12월 3일 밤에 보여준 모습은 아주 특이한 것이었다. 국회 유리창을 느릿느릿한 속도로 힘겹게 부수는 장면, 화분을 조심스럽게 옮기고 난 다음에 국회 사무실 유리창을 넘는 장면은 특히 인상적이었다. 소화기를 뿌리며 저항하는 국회의원 보좌관에게 대단히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장면 또한 신선하게 다가왔다.
서로 약속이나 한 것처럼 전혀 서둘지 않고, 뒤로 물러나면서 폭력행사 자체는 아예 생각하지도 않는 그들의 모습은 참으로 경이로운 것이었다. 소화기를 핑계 삼아 이리저리 서성이는 장면에서 나는 707특임대 사병들의 생각을 어느 정도 읽을 수 있었다. ‘우리 부대는 잘못된 시각에 잘못된 장소에 투입되어 잘못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니 태업(怠業)해야 한다.’
나처럼 나이 먹은 세대에게 ‘계엄군’은 곧바로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무한폭력을 행사하여 학살 만행을 자행한 잔인무도(殘忍無道)한 사병과 장교들을 의미한다. 한강이 ‘소년이 온다’에서 그려낸 것처럼 눈 하나 깜짝이지 않고 어린 학생들을 죽여버리는 잔혹성이 그 당시 비상계엄을 겪은 2-30대 청춘들에게 각인된 계엄군의 모습이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을 빌미로 이승만은 첫 번째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곧바로 11월에 제주 4·3사건을 빌미로 2차 비상계엄을 발동한다. 6·25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이승만은 비상계엄을 발판으로 ‘보도연맹’ 사건을 일으켜 2∼30만에 이르는 국민을 처참하게 학살(虐殺)한다. 학살극에 동원된 경찰과 군인들이 훗날 장교로 베트남에 파병되었다가 광주로 투입된 것이다.
한국 사회의 피비린내 진동하는 폭력의 변주(變奏)는 이승만에서 시작되어 박정희를 거쳐 전두환에게 이어진 것이다. 문화와 예술, 여성의 시대인 21세기 대명천지 문화강국 대한민국에 참담한 비상계엄이 발동되었다. 그런데 이번 12월 3일 비상계엄에 동원된 계엄군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에 투입된 계엄군과 달라도 너무나 달랐다.
상부 지시대로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폭행하고 살해했던 광기(狂氣)의 계엄군이 완벽하게 사라지고 전혀 새로운 21세기 계엄군이 출현한 것이다. 그들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교양인이자 따뜻한 가정에서 사랑을 받고 자란 신세대 사병이었다. 그들은 무엇을 해야 하고, 무엇을 하면 안 되는지 이미 가슴으로 알고 있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후배 민주 시민이었다.
한강은 “과거가 현재를, 죽은 자가 산자를 구할 수 있는가?” 하고 묻는다. 나는 신세대 계엄군을 보면서 죽은 자는 산자를 구했고, 과거는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까지 구원했다고 생각한다. 젊은 계엄군들의 놀라운 자제력과 정확한 판단 능력, 뛰어난 도덕성에 큰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