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인구 20년 뒤 10% 감소, 특단 대책 나와야

등록일 2024-12-25 18:35 게재일 2024-12-26 19면
스크랩버튼

24일 행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이달 처음으로 20%를 초과했다. 한국도 UN이 정한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셈이다. UN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 넘으면 고령사회, 20%를 넘게 되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2019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5%를 돌파했고 올 1월에는 19%에 도달했다. 저출산에 따른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나라다.

경북은 그중에서도 고령화 속도가 더 빠른 지역으로 분류된다. 행안부 주민등록인구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경북은 전남 다음으로 고령화가 많이 진행된 곳이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전남이 27%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높고, 경북은 26%로 그 다음이다.

같은 날 경북도는 도내 시군 장래인구 추계 결과(2022∼2042년)를 발표했다. 경북도에 의하면 경북의 인구는 2042년에는 2022년보다 26만여명이 감소한 236만9443명으로 추계됐다. 20년만에 도내 전체 인구의 약 10% 정도가 감소하는데, 영천, 청도, 울릉을 빼고는 모든 시군이 감소세를 기록했다.

포항, 구미 안동 등 도내 주요 도시 모두가 인구감소지역으로 나타났고 농촌지역으로 갈수록 감소 폭이 커지고 노령화도 심각했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젊은 유소년과 생산인구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것이다.

도내 유소년 인구는 2022년 28만명에서 12만명으로 줄고 15세 이상 64세 미만의 생산가능 연령인구도 175만명에서 32%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고령인구는 20년 동안 74%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과 인구감소, 고령화, 지방소멸 등의 문제는 이미 국가적 재앙으로 떠올랐다. 이번 조사로 경북은 타지역보다 그 정도가 더 심각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경북도도 이런 점을 고려, 저출생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대응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힘만으로 모든 것을 다 할 수 없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기업과 민간단체 등의 국가적 역량이 총집결되는 대응책이 나와야 한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