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2025 지원사업 통합 공고<br/>고환율·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br/>1924억 증액 편성 불확실성 대응
중소벤처기업부는 총 6196억원 규모의 ‘2025년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한다고 23일 밝혔다.
2025년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은 총 12개 사업이다. 중소기업 지원사업 9개와 소상공인 특화 지원사업 3개로 구분된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온·오프라인 수출부터 현지진출까지 종합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최근 중소기업 수출은 작년 4분기부터 4분기 연속으로 플러스를 기록하는 등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최근 고환율 및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등 불확실한 대외환경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에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내년 중소기업 수출지원 예산을 확대했다.
특히 수출자금을 장기, 저리로 제공하는 신시장진출지원자금과 수출기업이 마케팅, 디자인, 인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출바우처의 지원 규모를 크게 확대했다. 12개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 전체 예산은 지난해 4272억원 대비 1924억원(45%) 증액한 6196억원을 편성했다.
테크서비스 기업에게 적합한 수출 지원을 위해 내년부터 테크서비스 수출기업의 정책 수요를 반영한 테크서비스 수출 바우처가 140억원 규모로 신설된다. 이를 통해 기존 수출바우처에서 지원하지 않던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이용, 현지화(UI, UX개선 등) 등 테크서비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기업들이 해외 바이어 발굴을 위해 가장 선호하는 지원정책 중 하나인 전시회 참여 지원도 내년에는 글로벌 전자·IT 전시회 등 테크서비스 관련 전시회 참여 지원을 확대(6→10회 내외)해 테크서비스 기업의 바이어 발굴 및 수출계약을 지원해 나간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등에 따라 수출 환경에 다양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기회요인은 최대한 활용하고 위기요인에는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들의 수출국 다변화 및 해외진출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먼저, 중소기업의 신시장 개척을 지원하기 위해 수출국 다변화 성공기업에 대해 수출바우처 한도를 상향(20%) 지원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지속 운영하고 적용 물량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에 중소기업이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해외진출도 지원한다. 먼저, 수출바우처 수행기관을 통해서 해외진출 과정에 필요한 서비스를 일괄 지원한다.
중소기업 해외진출 거점인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도 확대한다. 이달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신규 개소해 현재 14개국에 21개소가 운영 중이며, 내년에도 1개소를 추가 개소할 계획이다. 해외진출 촉진 및 원활한 현지 경영자금 공급 등을 위해 내년에 최초로 국내기업의 해외법인에 대한 법인설립 및 운영 비용 등을 정책자금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수출규제에 신속한 대응하고자 간이심사를 통해 지원절차를 단축하는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의 ‘패스트트랙’ 대상 인증을 추가하고, 모든 인증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하던 기업당 인증지원 신청건수 상한(현재 4건)을 소액인증에 대해서는 확대적용해 화장품 등 소액인증 신청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규모도 확대한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