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新철도교통시대, 지역발전 기폭제 되길

등록일 2024-12-22 18:28 게재일 2024-12-23 19면
스크랩버튼

올해 경북도내에는 5개의 철도망이 새롭게 개통된다. 11월 말 운행을 시작한 중부내륙선(이천-문경)과 이달 19일 개통식을 가진 중앙선(도담·영천), 동해중부선(포항-삼척), 대경선(구미-대구-경산), 대구도시철도 1호선의 하양 연장 등이 그것이다. 5개 철도망의 동시 개통으로 내륙도시인 경북은 이제 새로운 교통혁명시대를 열게 된다. 경북 문경에서 종착역인 판교까지 1시간 30분이면 이동이 가능하다. 중앙선의 고속화로 안동에서 청량리까지도 1시간 40분이면 진입되고, 청량리에서 부산까지 30분 이상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중앙선의 완전개통은 내륙도시인 경북의 교통을 사통팔달로 연결하면서 경북지역 주민의 교통편의 제공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포항에서 삼척까지 연결되는 동해중부선도 연말이면 개통된다. 철도 불모지인 동해안에 철도가 완성되면서 동해안 철도시대가 드디어 개막된다. 포항에서 삼척까지 1시간 30분이면 도착된다. 경북 구미에서 칠곡과 대구를 거쳐 경산시에 이르는 광역철도 대경선도 이달 개통했다 300여 만명의 대구권 인구가 1시간 내 동일 생활권에 놓인다. 생활인구 이동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개통한 대구도시철도 1호선의 하양 연장도 통학 학생들의 교통수요를 감당하면서 하루 1만8000명 인구 이용이 예상된다고 한다. 경북을 중심으로 대구와 서울·경기, 강원, 부산 등지로 철도망이 촘촘히 연결돼 경북은 이제 더 이상 오지가 아니다. 전국 모든 곳과의 일일 생활권이 가능한 지역으로 바뀐다. 1시간 30분 거리면 오전에 볼일을 보고 오후에 돌아올 수 있는 거리다.

경북도내 신철도망 구축을 지역발전의 기폭제로 삼는 특별한 후속 조치가 따라야 한다. 교통의 편리성은 인구의 이동을 촉진하고 기업의 투자를 유인할 좋은 기회다. 하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 못하면 대도시권으로 오히려 인구가 빠져나가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인구유입과 경제활성화를 위한 역세권 개발, 관광산업 진작책 등 다양한 전략이 준비돼야 한다. 철도망의 개통이 지역경제 발전의 기폭제가 돼야 하는 것이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