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여야정 국정 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했지만, 협의체가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이 한 테이블에 앉아 협상하는 모습은 국민 모두가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협의체가 잘 굴러갈 수 있을지에 대해 걱정이 앞서는 것도 사실이다.
당장 국민의힘은 내년도 본예산 조기 집행과 공석인 장관(국방부·행정안전부) 임명을 현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추경 편성, 내란 특검법 공포 등을 주요의제로 다뤄야 한다는 입장이다. 협의체가 가동되더라도 첫 회동부터 충돌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예민한 이슈인 김건희 여사 특검법, 헌법재판관 임명 등도 협상테이블에 올려져야 한다.
충돌이 생길지라도 협의체는 운영돼야 한다. 국민의힘은 현실적으로 거대야당의 협조없이 국정운영을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동력을 이미 상실한 상태다. 한국갤럽의 지난주 정당 지지율 조사에서 민주당(48%)과 국민의힘(24%) 지지율은 더블스코어 차이가 났다. 국민의힘 텃밭인 대구·경북에서도 민주당은 27%의 지지율을 기록해 국민의힘(33%)과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는 민주당(38%)이 국민의힘(36%) 지지율을 앞섰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지지율이 이처럼 바닥까지 떨어졌는데도 국민의힘은 당 내분으로 밤을 새우고 있다.
민주당도 이젠 여당의 한심한 모습을 즐길 것이 아니라, 이참에 국민에게 수권역량을 보여줘야 한다.
‘바람 앞의 등불’ 같은 국가 위기를 수습하기 위해 최일선에서 뛰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향해 ‘탄핵’ 운운하며 흔들어 대는 모습은 ‘자해극’이나 다름없다. 지금 서민들은 외환위기 때보다 살기가 어렵다고 한다. 특히 경제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원화가치와 주가가 바닥으로 추락하는 상황을 매일 접해야 하는 국민의 불안감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그야말로 비상사태다. 비록 난항은 예상되지만, 정치권은 여야정 국정협의체를 중심으로 국가위기를 수습하는데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