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4일 대통령 탄핵소추가 가결된 후 다소 낯선 풍경이 눈길을 잡는다. 야권 6당 대표들이 국회 앞에 모인 시위대에게 인사말을 하는 자리였다. 그런데 발언권을 가진 대표자 6명 가운데 3명이 여성이다.
아, 우리나라가 많이 바뀌었구나, 하는 생각이 찾아드는 순간이다. 여성들의 ‘넘사벽’ 가운데 하나가 정치 영역인데, 그것도 어느새 변했구나, 하는 깨달음.
동서양 신화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신은 예외 없이 여신이다. 그리스 신화의 가이아가 그렇고, 동북아시아 신화인 ‘천궁대전’에 등장하는 ‘아부카허허’가 그러하다. 제주도의 설문대할망 역시 여신이다. 이들 여신은 모두 창조신으로 온갖 생명을 세상으로 내보내는 근원적인 탄생의 주관자들이다. 그들이 있었기에 인간세계 또한 가능했던 셈이다. 12월 3일 밤 불시(不時)에 터져 나온 ‘비상계엄’으로 온 나라가 혼란과 암흑으로 빠져드는 시점에 계엄군의 총부리를 맞잡고 “부끄럽지도 않아!” 대갈일성 내지른 이는 30대 여성이었다. 그 후의 사태 진전에서도 여성들의 발길은 이어지고 있다. 최근 통계는 12월 7일과 14일에 거리로 광장으로 국회 앞으로 나온 시민들 가운데 27.6%가 20∼30대 여성이라고 알린다.
계엄 상황을 지켜보면서 맨 먼저 찾아온 생각이 왜 젊은 여성들의 시위 참여가 현저한가, 하는 문제였다. 무엇이 저들을 한겨울 맹추위를 무릅쓰고 거리로 나오게 한 것일까, 하는 것이었다. 그들 중에는 유모차를 끌고 나온 여성도 적잖았다고 언론은 전한다. 100만 인파 속에서는 혼자 몸도 버거울 텐데 유모차를 대동해서 겨울 한복판으로 나온 여성들이라니?!
나는 그들의 내면 깊은 곳에 세 가지 사건이 자리한다고 여긴다. 2002년 6월 월드컵 열기에 묻혀버렸다가 연말에 되살아난 ‘미선이-효순이 사건’이 첫 번째다. 당시 중학교 2년생이었던 그들은 길을 가다 속수무책으로 불귀의 객이 되었으나, 미국 고위층의 공식적인 사과나 위로 하나 받은 적 없다. 그로 인한 공분(公憤)을 공유한 세대가 지금 30대 중후반 여성들이다.
10년 전 4월 16일 벌어진 한낮의 참극 ‘세월호 대참사’에서 단원고교 2학년생 250명이 우리 눈앞에서 수장(水葬)되었다. 차마 저것이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벌어진 사건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인정하기에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던 대참사. 그들이 살아있었다면 올해 27살의 혈기방장한 청춘으로 세상살이 초년생으로 세상의 비의(秘義)를 배워나갈 시점이리라.
2년 전 2022년 10월 29일 일어난 ‘이태원 참사’도 빼놓을 수 없다. 159명의 사망자와 195명의 부상자를 낳은 안타까운 사건이 ‘이태원 참사’다. ‘이태원 참사’에 대해 현 정권은 온전한 사과나 책임자 처벌을 하지 않은 채 오늘에 이르렀다. 참사 희생자들 대부분이 청년층이었음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이들 세 가지 사건의 중심에 20∼30대 청년들이 자리한다. 여성은 생명을 향한 강렬한 애착과 보호하려는 열망이 있다. 생명을 잉태하고 보육하는 최고 책임자로서 여성은 생명의 주관자로 생동한다. 젊은 여성들이 맨손으로 무력에 대항하는 장면은 진정 아름답고 숭고한 것이 무엇인지 새삼 돌아보게 한다. 한국은 바야흐로 여성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