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불교 출판문화를 꽃피운 경북의 사찰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12-17 19:48 게재일 2024-12-18 14면
스크랩버튼
한국국학진흥원, ‘경상도 전통 사찰의 출판문화’ 발간 <br/>안동 봉정사·영주 부석사·청도 운문사 등 <br/>판각활동 중심지로 활동한 불사들 재조명
‘경상도 전통 사찰의 출판문화’ 책 이미지.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경상도 전통 사찰의 출판문화’ 책 이미지.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한국국학진흥원이 조선시대 불서 출판의 중심지였던 경상도 지역의 불교 출판문화 간행의 역사적 배경을 정리한 ‘경상도 전통 사찰의 출판문화’를 발간했다. 이로써 불교 출판 연구로 기관의 지평을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통 사찰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불서 출판과 판각 활동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다. 안동 봉정사, 영주 부석사, 청도 운문사 등 경북의 유서 깊은 사찰에서는 불경을 비롯한 다양한 불서들이 출판됐다.

사찰에서 불서 간행을 주도한 승려들은 경전 출판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승려들은 불서 간행에 필요한 목판을 판각했고, 직접 각수로 참여하기도 했으며, 불사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데도 힘을 쏟았다.

한국국학진흥원은 경북도의 지원을 받아, 최근 경상도 지역 전통 사찰을 중심으로 한 조선시대 불교 출판문화 연구를 통해 새로운 연구 지평을 열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 유교 연구에 집중했던 기관의 방향성을 불교문화로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전통 사찰, 출판문화의 중심지로 부상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의 사찰들은 불서 출판의 중심지였다. 각 사찰에서는 불경 간행과 책판 제작이 활발하게 이뤄졌는데, 이는 사찰이 불교문화의 전파와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불경 간행과 책판 제작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불교와 유학이 어떻게 교류하며 융합돼 갔는지도 엿볼 수 있다.

각 사찰에는 책판의 판각이 있었고, 사찰에서는 한지도 생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찰은 수준 높은 불서들을 간행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때때로 한지 생산은 사찰에 과중한 부담이 돼 사찰이 텅 빌 지경에 이르렀다고 표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전통 사찰들은 조선시대 출판문화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조선시대 출판문화의 형성에 기여한 사찰

‘경상도 전통 사찰의 출판문화’ 책은 경상도 지역의 불교 출판문화 간행의 역사적 배경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조선시대 출판문화의 발전과 그 과정에서 사찰의 위치 및 역할을 재조명했다. 이를 통해 경상도 지역의 불교 출판문화가 한국 문화사에 미친 깊은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한국국학진흥원 김순석 인문융합본부 수석연구위원은 “이번 연구서 발행을 통해 기관의 연구 방향성을 확장하고, 연구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며 “향후 경상도 지역의 불교문화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국학진흥원은 우리나라 유교문화를 재조명하고 한국 전통문화와 국학을 연구하는 산실로, 경북도가 2002년 안동시와 함께 설립한 기관이다. 안동시 도산면 26만4000㎡ 부지에 자리한 이 곳은 본관 ‘홍익의 집’을 비롯해 유교문화박물관과 세계기록문화전시체험관, 장판각, 인문 정신연수원, 도서실, 연구실, 대강당, 강의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석·박사급 연구원 50여 명이 있다. 국학 자료의 보존 및 연구·보급·확산을 담당하는 전문 기관으로서, 국학 진흥을 통해 ‘글로컬’(세계화와 지역화의 조화) 시대의 인류 문화 창달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