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역기업 인력난 심화…모든 대책 동원해야

등록일 2024-12-11 19:45 게재일 2024-12-12 19면
스크랩버튼

대구지역 기업들의 인력난이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지역기업 현장인력 수급 및 외국인 고용 현황 조사에 의하면 지역기업의 절반이 넘는 55.4%가 현장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유통업과 건설업보다 더 심각하며 제조업 중에서는 지역 전통산업인 섬유업이 가장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인력 수급난의 원인에 대해서는 현장근무 기피현상(37.6%)이 가장 많았고, 채용가능 인력부족(23.3%), 낮은 급여와 복지 수준(23.3%) 순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이 많은 대구지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에 적합한 대책이 별도 마련돼야 한다. 지난 10월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이상 구직활동을 벌였으나 일자리를 찾지 못해 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중소기업의 현장인력 부족에 배치되는 현상으로 일자리 미스메치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이 된다.

아직도 우리 사회에 남아 있는 생산직 기피현상과 대기업 취업에만 매달리는 청년층의 지방이탈 등이 지역중소기업의 인력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앞으로 저출산과 고령화 등이 진행되면 그 여파로 중소기업의 현장인력 구인난은 더 악화될 것이 뻔하다.

대구상의 조사에서 기업들은 대안으로 60세 이상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기업이 조사대상의 32.4%로 가장 많아 고령자 계속 고용이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 외국인 근로자 고용도 대안으로 나오고 있다. 조사대상 기업의 35.6%가 외국인 근로자를 이미 고용하고 있다. 다만 외국인 근로자 고용에 따른 관리 및 제도가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아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앞으로 생산가능 연령인구가 지속 감소하고 이로 인한 생산직 근로자의 수는 절대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를 타파할 다양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특히 중소기업이 많은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 개발이 있어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 고용 활성화도 그 대책의 일환이 된다.

노병철의 요지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