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독도 해양생태계가 올가을 이례적으로 뜨거워진 열대, 아열대 환경의 영향을 받아 국내 미기록 열대성 어류 등 16종이 처음으로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원장 이희승, 이하 KIOST)은 울릉도·독도해역에서 국내 미기록 종 어류 2종과 기존에 울릉도·독도 해역서 보고되지 않았던 14종의 어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KIOST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김윤배)가 해양수산부, 경상북도, 울릉군이 지원하는 독도 현지조사 활성화 및 전문화 사업의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된 결과물이다.
이번 연구에서 김윤배 박사 연구팀은 명정구 박사(수산자원생태연구소)와 명세훈 연구사(국립수산과학원) 연구팀과 함께 2024년 9~11월까지 울릉도 및 독도 근해 조사를 했다.
연구팀은 독도 서도 혹돔 굴과 울릉도 서면 남양리 물새바위 해역의 수심 10m 근처에서 국내 미기록종 어류인 열대성 어종에 속하는 망둑어과와 아열대성 어종에 속하는 동갈돔과의 어류를 발견했다.
미기록 종은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됐지만, 국내에서는 처음 확인된 종을 의미한다. 국내 미기록종인 망둑어과의 어류는 ‘등점복기망둑’으로, 동갈돔과의 어류는 ‘큰금줄얼게비늘’로 학계에 보고될 예정이다.
또한, 연구팀은 그동안 울릉도·독도 해역에서 발견되지 않은 14종을 새로 발견했다. 그중 금강바리, 가라지속, 녹색물결놀래기, 무늬바리, 무지개놀래기, 실용치, 쑥감펭, 연지알롱양태, 주걱치, 파랑비늘돔과, 황안어 등 11종은 독도 해역에서 처음 발견됐다.
가막청황문절, 나가사끼자리돔, 호박돔 등 3종은 울릉도에서 처음 발견된 종이다. 독도에서 발견된 녹색물결놀래기, 주걱치, 파랑비늘돔, 황안어, 호박돔 등 5종은 울릉도에서도 함께 발견됐다.
특히, 울릉도·독도 해역에서 첫 서식이 확인된 14종 중 8종이 열대성 어류였고, 나머지는 아열대 및 온대성 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이다. 이는 해수온의 변화로 우리 바다의 해양생태계가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거와 달리 따뜻한 남쪽 바다에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어종이 우리 바다를 찾아오며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울릉도·독도 해역은 한반도 주변 해역 중 가장 급격하게 표층 수온이 증가하고 있는 해역으로,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연안 중 가장 빠르게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이번 연구팀의 독도 연안에 있는 기상청 독도파고부이 표층 수온 분석결과에 따르면 독도 연안의 경우, 올해 표층 수온 20℃ 이상 일수가 147.2일로 2013년 이후 가장 오래 유지된 일수를 나타냈다.
또한, 표층 수온 28℃ 이상 일수는 2024년 28.7일로 독도에서 관측 이래 가장 오랜 일수로 2023년 17.6일에 비해 10일 이상 증가했다.
울릉도 연안은 국립수산과학원 울릉도 조위 관측소 및 기상청 울릉도 해양기상부이 표층 수온 장기 분석결과(1965-2023년)에 따르면, 표층 수온 20℃ 이상 나타난 연간 일수가 1960년대는 연간 약 83일, 2020년대 연평균 약 141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김윤배 대장은 “울릉도·독도해역은 한반도 해역 중 가장 빠르게 열대화가 진행되는 해역으로, 특히 올해 열대화 속도가 매우 증가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수온이 낮아지는 겨울철에 이러한 어종들의 행동특성을 확인하고자 국내 전문가들과 협력, 겨울철 울릉도·독도 현장조사를 강화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희승 KIOST 원장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우리 바다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우리 바다의 해양환경과 생태계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는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제정에 대응, 경상북도와 울릉군이 독도수호대응차원에서 2014년 울릉도에 개소한 연구기관으로 KIOST가 위탁운영을 맡고 있다. 해양수산부 지정 독도특수목적입도객지원센터 운영기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